로로피아나 484만원 재킷, 13만원에 하청…명품들의 ‘노동착취’

  • 동아닷컴
  • 입력 2025년 7월 15일 09시 38분


코멘트
프랑스 명품 그룹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의 이탈리아 계열사 로로피아나(Loro Piana)가 하청업체를 통한 불법 노동 착취 문제에 휘말리며 이탈리아 밀라노 법원으로부터 사법 관리 대상으로 지정됐다. 뉴시스
프랑스 명품 그룹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의 이탈리아 계열사 로로피아나(Loro Piana)가 하청업체를 통한 불법 노동 착취 의혹으로 이탈리아 밀라노 법원에서 사법 관리 대상으로 지정됐다.

14일(현지시간) 이탈리아 일간지 코리에레델라세라에 따르면, 밀라노 법원은 “로로피아나가 하청업체의 불법 행위를 묵인하고 이익을 얻었다”며 로로피아나를 1년간 사법 관리 대상으로 지정했다.

484만 원 캐시미어 재킷이 고작 13만 원

로로피아나는 고급 캐시미어 의류의 생산을 하청업체에 맡겼으며, 해당 업체는 밀라노 인근의 중국계 업체에 재하청을 해 작업을 위임했다. 2차 하청 업체는 불법 체류 중인 아시아계 노동자들을 고용해 공휴일과 야간까지 장시간 불법 노동을 시킨 것으로 드러났다.

당국은 전력 사용량을 분석해 법정 근로시간을 초과한 노동 사실을 확인했고, 무허가 기숙사, 비위생적인 작업 환경, 안전장치 미비 등도 적발했다.

특히 3000유로(약 484만 원)에 판매된 로로피아나의 캐시미어 재킷을 제작한 2차 하청업체가 실제 받은 비용은 80유로(약 13만 원)에 불과해 과도한 원가 절감 구조가 도마에 올랐다.

디올 원가 8만원 논란 이어…반복되는 다단계 하청

이탈리아 명품 업계의 다단계 하청 구조는 이미 수차례 문제로 지적돼 왔다. 앞서 발렌티노, 디올, 아르마니, 알비에로 마르티니 등도 유사한 이유로 사법 관리 처분을 받은 바 있다.

디올의 경우, 하청업체 4곳이 불법 체류 중인 중국인 노동자를 고용해 24시간 공장을 가동했고, 이들이 만든 가방의 원가는 53유로(약 8만 원)에 불과했으나, 디올 매장에서는 2600유로(약 420만 원)에 판매됐다.

아르마니의 하청업체 역시 노동자에게 고작 2~3유로(약 3000~4000원)의 임금을 지급하며 하루 10시간 이상 노동을 시켰다. 해당 업체는 제작한 가방을 공급업체에 93유로(약 15만 원)에 넘겼고, 공급업체는 이를 아르마니에 250유로(약 40만 원)에 재판매했다. 이후 아르마니가 판매한 가방의 최종 소비자 가격은 1800유로(약 290만 원)에 달했다.

이와 관련해 디올과 아르마니 측은 “불법 관행이 드러난 공급업체와의 계약을 해지했으며, 다른 업체들에 대한 점검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LVMH#로로피아나#루이뷔통모에헤네시 계열사#밀라노 법원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