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의료진의 도움으로 간이식을 성공적으로 마친 프란츠 아렌 바바오 레예즈 씨(가운데). 서울아산병원 제공
난치성 희소 질환을 앓던 20대 필리핀 청년이 한국 의료진의 도움으로 어머니의 간을 이식받아 새 삶을 얻었다.
15일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이 병원 간이식 팀은 지난달 18일 필리핀 마카티병원에서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을 앓는 청년 프란츠 아렌 바바오 레예즈 씨(23)에게 어머니의 간 일부를 떼어 내 이식하는 생체 간이식 수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했다.
4년 전부터 담도염에 시달리던 이 환자는 최근 패혈증으로 중환자실에 입원할 정도로 상태가 급격히 악화됐다. 만성적인 담관 염증으로 인해 간 기능이 저하돼, 보존치료만으로는 회복이 어려운 상태였다.
서울아산병원 간이식·담도외과 안철수 김상훈 교수는 담관 염증과 협착 때문에 제 기능을 못 하는 간과 간외 담관을 제거하고 어머니의 간을 이식했다.
환자의 어머니 마리아 로레나 멘도자 바바오 씨는 과거 복부 총상으로 인한 장천공 수술 등 세 차례의 복수 수술 병력이 있어 복강 내 심한 유착이 우려되는 상황이었다. 긴이식·간담도외과 김기훈 교수는 현지 의료진과 함께 개복 간 절제술로 간 일부를 무사히 절제해 냈다.
간이식 팀은 귀국 후에도 원격 협진으로 환자 회복을 지원했다. 어머니는 수술 후 5일 만에 퇴원했고, 아들 또한 건강을 회복해 이번 주 퇴원할 예정이다. 환자는 “간이식 분야 세계 최고 병원에서 수술을 집도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처음으로 희망이 생겼다”며 “새 생명을 선사한 서울아산병원 의료진에게 진심으로 감사하다”고 전했다.
생체 간이식 수술을 받은 환자 족들이 한국 의료진에게 감사함을 전하기 위해 마카티병원에 찾아왔다. 왼쪽 두 번째가 김기훈 서울아산병원 간이식·간담도외과 교수. 서울아산병원 제공 필리핀은 장기 기증자가 인구 100만 명당 1명 수준으로 장기 이식이 활성화되지 않은 나라다. 간이식 생존율도 국제 평균에 미치지 못한다. 생체 간이식 경험이 없는 마카티병원은 서울아산병원에 의료진 교류와 간이식 교육을 요청했고, 두 병원은 2023년 의학 교류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김기훈 교수는 “이번 수술은 현지 의료진이 독자적으로 간이식을 시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데 큰 의미가 있다”며 “마카티병원과 지속적인 협력으로 더 많은 생명을 살릴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서울아산병원은 지금까지 생체 간이식만 7563회 시행했고, 올해 5월엔 뇌사자 간이식을 포함해 간이식 9000회를 달성해 단일 의료기관 기준 세계 최다 간이식 기록을 세웠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