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승원 광명시장(왼쪽에서 세 번째)이 올해 5월 20일 국회 소통관에서 신안산선 공사 현장 붕괴 사고 피해지역 주민들과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광명시 제공국토교통부의 ‘건설사고조사위원회’와는 별도로 ‘광명시 지하사고조사위원회’도 구성했다. 사고 현장을 확인하고, 공사 관계자 청문 등 사고 조사를 추진하고 있다. 원인 규명을 포함해 유사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근본적인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사고로 훼손된 도로로 인한 통행 불편을 최소화하고 교통 정상화를 위해 왕복 2차선 규모의 임시도로를 개통할 수 있도록 국토부와 협력하고 있다.
현재 사고로 무너진 도로의 1차 되메우기 공정은 완료됐다. 다만 시공사인 포스코이앤씨가 임시도로 개통을 위한 지반 안정화 작업은 진행 중인데, 다음 달 작업이 마무리된다. 버스노선 재조정, 임시정류소 설치, 양지사거리 셔틀버스 운행, 가학로 우회도로 마련 등도 추진 중이다.
여름철 전력수요와 겨울철 난방 수요에 대비해 에너지 공급 체계 확보에도 힘쓰고 있다. 사고 현장 인근 일직동의 전력 공급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계기관과 협력해 154kV 전력 케이블을 우회 설치했다. 가스 공급 관로에 대한 복구 공사도 병행 추진한다.
박승원 광명시장이 6월 19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신안산선 붕괴 사고 현장 복구 공사 긴급 현안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광명시 제공피해 주민 대상 무료 법률상담과 심리상담 프로그램도 지속적으로 운영 중이다. 장마철 침수와 2차 붕괴 방지를 위해 우회 배수로를 긴급 복구하고 여러 차례 관계기관 합동 안전 점검 회의를 열고 수방 대책도 마련했다.
안전 전문 기관에 의뢰해 주변 건축물에 대한 안전진단과 지반·토목 분야 안전성 검토를 하는 등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미리 차단하고 있다.
올해 5월, 광명시를 포함한 5개 지자체가 공동 건의문을 정부에 제출했다. △사고지역 피해 복구 △신안산선 안전 시공 △정부 주도 특별안전관리 △피해지역 주민 민생 회복 방안 마련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국회의원, 시민단체, 피해 주민과 함께 국회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시공사에 재발 방지와 보상 대책 마련도 요청했다. 관계기관에 조속한 사고 원인 규명과 피해 보상, 시민 생활 안정 대책 마련을 지속적으로 요청하고, 이를 위한 협의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피해 주민, 소상공인들과 간담회를 열어 피해 상황을 직접 청취하고, 안전 주택 제공, 도로점용료 감면 등 가능한 실질적인 지원을 검토할 예정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