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의 얼굴을 공개하지 않은 한 먹방 유튜버가 연간 2300억 원에 달하는 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며 화제를 모았지만, 업계 전문가들은 “숫자만 본 착시”라며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반박했다.
19일 소셜미디어(SNS) 데이터 분석 플랫폼 ‘녹스인플루언서’에 따르면 유튜브 채널 ‘Jane ASMR 제인’의 연간 수익은 약 2316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다. 월수입은 190억 원, 일수입은 약 6억 원에 이른다는 분석이다.
해당 채널은 초콜릿, 캔디, 마카롱 등 화려한 색감의 음식을 먹는 ASMR(자율감각 쾌락반응) 콘텐츠로 구독자 1840만 명을 보유하고 있다. 입만 보이는 형식으로 매일 영상을 올리며 대부분의 시청자가 해외 구독자인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해당 예측 수치는 현실과 거리가 멀다는 지적이 나온다.
유튜브 공식 파트너 프로그램(YPP)에 따르면 크리에이터가 실제 받는 수익은 단순한 조회수나 구독자 수만으로는 판단할 수 없다. CPM(광고 노출 1000건당 단가)과 RPM(창작자 수익)은 시청자의 국가, 영상 길이, 광고 클릭률 등에 따라 달라지고 콘텐츠 장르에 따라 수익 차이가 10배 이상 나서다.
크리에이터 제휴 서비스 업체(MCN) 관계자는 “먹방·ASMR 콘텐츠는 구조적으로 광고 수익이 낮다”며 “CPM 자체가 낮은 콘텐츠에서 수천억 수익을 기대하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라고 설명했다. 실제 국내 먹방 유튜버들인 쯔양, 문복희 등도 과거 방송에서 수억 원대 월 수익을 밝힌 바 있다. ASMR 유튜버 가운데 구독자가 가장 많은 ‘gentlewhispering’ 채널도 연간 광고 수익이 1억~5억 원 정도로 추정된다.
유튜브의 자체 플랫폼 정책 변화도 고려해야 한다. 유튜브는 올해부터 반복적·비진정성 콘텐츠에 대해 수익 제한을 두고 있어, 다수 구독자를 확보한 채널이더라도 광고 수익만으로는 수백억 원을 벌긴 어렵다는 해석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유튜브 수익 구조상 단일 광고보다는 협찬, 굿즈, 후원 등 수익 다변화 전략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뉴욕대 티안위안 화 연구진이 발표한 ‘유튜브 대체 수익화 전략 분석’ 연구에서도 “광고만으로 고수익을 얻기는 어렵다”며 지적한 바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