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는 10월 13일까지 주민등록지와 실제 사는 곳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주민등록 사실조사를 실시한다고 21일 밝혔다. 100세 이상 고령자나 고위험 복지위기 가구 등은 집중적으로 살펴봐 복지 사각지대를 줄이는 데 활용하는 자료로 쓰인다.
시에 따르면 이날부터 8월 31일까지는 정부24 애플리케이션(앱)을 활용한 비대면 디지털 조사가 진행된다. 대상자는 반드시 본인의 주민등록지에서 앱에 접속해 응답해야 한다. 주소지가 같은 가구원 중 1명이 가구를 대표해 참여하면 된다.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으로 실제 거주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이다.
비대면 조사에 참여하지 않은 가구와 정부가 정한 중점조사 대상 가구는 9월 1일부터 10월 23일까지 직접 방문 조사를 한다. 중점조사 대상이 있는 가구는 비대면 조사에 참여했더라도 방문조사가진행된다.중점조사대상은△100세 이상 고령자 △5년 이상 장기 거주불명자 △고위험 복지위기 가구 △사망 의심자 △장기 미인정 결석, 미취학 아동이 있는 집이다.
전기나 수도가 끊기는 등 위기 징후가 포착돼 보건복지부에서 조사를 요청한 고위험 복지위기 가구는 사실조사 결과를 복지부와 공유해 위기 대응과 복지 지원에 활용할 계획이다. 주민등록 사실조사는 주민등록지와 실제 거주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복지 사각지대 해소 등 정책 수립에 활용되는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국가조사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