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공공기관 334곳의 고졸자 채용률이 8.3%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기관 고졸자들의 일자리를 늘리고 다양한 채용 기회를 보장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교육 분야 시민단체 ‘교육의 봄’은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알리오)를 통해 전국 공공기관 고졸 채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올해 1분기(1~3월) 전체 신규채용자 3942명 중 고졸자는 329명(8.3%)에 불과했다고 23일 밝혔다. 공공기관 고졸 채용률은 2019년 15.1%에서 2022년 7.8%로 하락했다가 2023년 8.8%, 지난해 10.7%로 소폭 올랐다. 이 중 고졸 인력을 한 명도 채용하지 않은 공공기관은 211곳(63.2%)이다.
기획재정부 공공기관 평가 기준에 따르면 ‘일자리 및 균등한 기회’ 항목에서 만점을 받으려면 고졸 인력을 8%이상 채용해야 한다. 그러나 지난해 일반직 정규직 신규채용을 진행한 기관 334곳 중 ‘8% 채용’ 기준을 달성하지 못한 기관은 211곳(63.2%)이었다.
교육의 봄 관계자는 “공공기관의 고졸 채용은 사회적 불평등을 완화할 사회적 책무를 다하는 측면 뿐 아니라 인력 구성을 다양화해 조직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공공기관의 고졸 채용을 장려하기 위해 경영평가 시 고졸 채용 항목 배점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교육의 봄은 광역지방자치단체 17곳의 조례를 분석한 결과도 발표했다. 조사 결과 광역 지자체 14곳이 고졸자 고용 촉진 조례를 마련하고 조례 속 고졸자의 우선 채용 비율을 정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 광주, 세종, 울산은 조례를 통해 해당 지자체 산하 공공기관에 신규 채용의 20% 이상을 고졸 인력으로 우선 채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강원·경북·서울·전남·전북·제주는 고졸자 우선 채용 비율을 10% 이상으로, 대구·대전·부산·충남은 5% 이상으로 권고한다. 하지만 자체 조례로 정한 우선 채용 비율을 달성한 지자체는 이중 서울과 전북, 강원, 제주, 부산 등 5곳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교육의 봄 관계자는 “광역 지자체 대부분이 고졸자 고용 촉진 조례를 제정했지만 우선 채용 비율이 잘 지켜지지 못하는 실정”이라며 “고졸 우선 채용 비율을 지키는 것을 의무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