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강화군 화도면 동막해변 전경. 최근 ‘북한 핵 폐수 방류로 인한 서해 오염’이라는 근거 없는 의혹이 확산하면서, 강화도 관광객 발길이 눈에 띄게 줄고 있다. 인천 강화군 제공
북한의 핵 폐수 방류로 서해가 오염됐다는 근거 없는 의혹이 확산하면서, 본격 휴가철을 앞두고 인천 강화군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이상 없다’는 정부 조사 결과가 나왔음에도 상권 피해가 계속되자, 지자체와 시민단체들이 지역 상권 살리기에 사활을 걸고 있다.
가톨릭환경연대와 강화도시민연대 등 인천 지역 31개 시민단체는 22일 기자회견을 열고 “과학적 근거가 없는 북한 핵 폐수 관련 의혹의 확대는 지역사회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하고 있다”며 “근거 없는 소문으로 강화도를 찾는 발길이 뚝 끊기면서 지역경제마저 휘청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 단체는 일부 유튜버를 중심으로 퍼지고 있는 핵 폐수 방류 오염 의혹 유포를 즉각 중단하고, 강화 해역에 방사능 감시 체계와 상시 모니터링 기구를 설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북한 핵 폐수 오염 의혹은 지난달부터 확산하기 시작했다. 한 북한 전문 매체가 북한 황해북도 평산 우라늄 공장 인근에서 방사능에 오염된 핵 폐수가 방류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한 것이 발단이었다. 이후 일부 유튜버들이 강화군 해변을 찾아 휴대용 방사능 측정기로 수치를 자체 측정한 뒤, “기준치의 8배에 달하는 방사능이 검출됐다”는 내용의 영상을 게시하면서 불안감이 퍼졌다. 이때부터 관광객의 발길이 눈에 띄게 줄었다는 것이 지역 주민들의 설명이다.
하지만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조사에서는 모두 ‘이상이 없다’는 결과가 나왔다. 해양수산부, 환경부, 원자력안전위원회 등은 강화도 등 서해 10개 지점에서 시료를 채취해 분석한 결과, 우라늄과 방사성 세슘, 중금속 5종 모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인천시가 강화군 일대 해역 3곳의 바닷물을 채취해 조사한 결과에서도 삼중수소와 세슘 등이 모두 최소검출가능농도(MDA) 미만으로 나타났다. 서해 해역은 방사능 오염이 없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각에서는 여전히 조사 결과를 신뢰할 수 없다는 의혹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강화 지역 상권 피해는 쉽게 회복되지 않고 있다. 이에 강화군 어민들은 “기준치를 웃도는 방사능 수치가 검출됐다”고 주장한 유튜버를 허위사실 유포에 따른 업무방해 혐의로 경찰에 고소하기도 했다.
강화군은 위축된 관광 산업을 회복하기 위해 인천시의 지원을 요청하고 나섰다. 박용철 강화군수는 최근 열린 인천 군수·구청장 협의회 회의에서 “본격적인 휴가철을 앞두고 인천시 차원의 적극적인 홍보 지원이 필요하다”며 관련 활동에 힘써달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강화군은 지역 상권 회복을 위해 주요 포털사이트에 ‘청정한 강화군’을 적극 홍보하고, 관광객 편의를 위해 점심시간대 음식점 밀집 지역의 주정차 단속도 한시적으로 유예할 방침이다.
강화군 관계자는 “정부 합동 조사와 인천시 조사 모두 이상이 없다고 확인됐음에도 불구하고 허위 정보가 퍼지면서 관광객 수가 크게 줄었다”며 “시민들이 강화군의 해변과 먹거리를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