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류장서 쓰러진 남성에 CPR…버스 기사, 시민 생명 구했다

  • 뉴스1
  • 입력 2025년 7월 28일 09시 41분


코멘트

연대 앞 정류장서 심폐소생술 실시

연대 앞 버스정류장에 진입하는 버스기사가 정류장에 쓰러진 시민을 보고 버스에서 내려 심폐소생술을 실시하고 있다.(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 제공)
연대 앞 버스정류장에 진입하는 버스기사가 정류장에 쓰러진 시민을 보고 버스에서 내려 심폐소생술을 실시하고 있다.(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 제공)
서울 시내버스 기사가 운행 중 쓰러진 시민을 발견하고 심폐소생술로 의식을 회복시킨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28일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에 따르면 지난 11일 오후 10시 30분경 171번 버스를 운전하던 정영준(62) 기사는 연세대학교 앞 정류장에 진입하던 중 학생들 사이에 쓰러져 있는 60대 시민을 발견했다.

정 기사는 곧바로 버스에서 내려 시민에게 다가갔고 호흡이 없는 상태임을 확인한 뒤 심폐소생술을 시작했다.

약 3~4분간 CPR을 실시해 호흡을 되찾게 했고 이어 1분간 추가 조치 끝에 의식까지 회복시켰다. 현장에 있던 학생들이 119에 신고했고 시민은 구급대에 인계돼 병원으로 이송됐다.

정 기사는 “당시 환자는 의식이 없어 먼저 혀를 펴서 기도를 확보한 뒤 심폐소생술을 했다”라며 “회사에서 심폐소생술 교육을 매년 받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할 수가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회사에서 서대문소방서로 연락해 확인해 봤는데 쓰러진 분이 119로 잘 연계가 됐고 의식도 있는 괜찮은 상태로 병원으로 안전히 이송됐다고 들었다”고 덧붙였다.

환자 인계 후 다시 운전석에 오른 그는 승객들에게 상황을 설명하며 사과했고, 승객들은 “괜찮다”, “수고했다”고 응원했다. 한 학생은 하차하면서 과자를 건네며 감사 인사를 하기도 했다.

정 기사는 “당연히 해야 할 일을 했다고 생각한다”며 “운행이 지체됐음에도 이해해준 승객들에게도 감사하다”고 전했다.

서울시 시내버스 기사는 매년 4시간의 대면 보수교육과 12시간의 산업안전보건교육 과정에서 심폐소생술 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또한 연 12시간을 이수해야하는 산업안전보건교육(온라인) 과정 안에도 심폐소생술교육이 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