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이 29일 오전 서울 서초구 순직 해병 특검 사무실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하고 있다. 박형기 기자 onehsot@donga.com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 사건 및 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채 상병 특검(특별검사 이명현)이 ‘VIP 격노설’이 불거진 국가안보실 회의에 참석했던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을 불러 조사했다. 이시원 전 대통령공직기강비서관에게도 31일 출석을 요구하는 등 채 상병 사건 수사 외압에 관여했던 피의자들에 대한 조사도 본격화되고 있다.
특검은 29일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조 전 원장을 불러 조사했다. 조 전 원장은 2023년 7월 31일 국가안보실 회의에 참석한 7명 중 한 사람이다. 특검은 당시 회의에서 윤 전 대통령이 채 상병 순직 사건 관련 해병대 수사단의 수사 결과를 보고 받고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할 수 있겠냐”며 격노하며 외압을 행사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날 특검은 조 전 원장에게 당시 회의에서 윤 전 대통령의 격노가 있었는지, 윤 전 대통령이 수사에 외압을 가하는 지시를 내렸는지 등을 물었다고 한다. 특검은 조 전 원장이 회의 직후 임기훈 전 대통령국방비서관과 함께 자리에 남아 윤 전 대통령과 사건 처리 방안을 논의했다고 보고 있다. 이 때문에 조 전 원장이 당시 지시 사항을 누구보다 자세히 알고 있을 인물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회의에 참석했던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 이충면 전 대통령외교비서관 등은 특검에 나와 윤 전 대통령이 화를 낸 사실에 대해선 인정했지만 “전후 사정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은 31일 이 전 비서관에 대한 피의자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 전 비서관은 대통령 격노 이후 해병대 수사단이 경북경찰청에 이첩한 채 상병 순직 사건을 군 검찰단이 회수하는 과정에 개입한 혐의를 받고 있다. 앞선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수사에 따르면 이 전 비서관은 사건이 회수된 2023년 8월 2일 이후 유재은 전 국방부 법무관리관과 1달 동안 26차례 통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은 이들이 사건 회수와 사후 처리 방향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특검은 노모 전 경북청 수사부장 등 실무자들에 대한 조사는 이미 마쳤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