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 해양레저 명소 ‘한국의 캉쿤’ 된다

  • 동아일보

코멘트

‘해양레저관광도시’ 대상 선정
민간기업 등과 1조1400억 투자
리조트-요트클럽센터 등 조성
年 관광객 254만명 방문 기대

박완수 경남도지사(왼쪽)와 천영기 통영시장이 지난달 30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공모 최종 선정에 따른 도시 육성 계획을 브리핑하고 있다. 이 사업은 민간 투자와 재정 지원을 연계해 글로벌 해양레저관광 명소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1조 원대 사업비가 투자된다. 경남도 제공
박완수 경남도지사(왼쪽)와 천영기 통영시장이 지난달 30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공모 최종 선정에 따른 도시 육성 계획을 브리핑하고 있다. 이 사업은 민간 투자와 재정 지원을 연계해 글로벌 해양레저관광 명소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1조 원대 사업비가 투자된다. 경남도 제공
1조 원 규모의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공모 사업 대상지로 경남 통영시가 최종 선정됐다. 대규모 인프라 및 관광경제 생태계 구축으로 통영이 세계적인 해양레저 관광도시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박완수 경남도지사와 천영기 통영시장은 지난달 30일 경남도청에서 브리핑을 열고 통영을 놀거리(레저)·볼거리(관광)·쉴거리(휴양)를 한곳에 모은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로 육성한다고 밝혔다. 해양수산부가 전날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사업 첫 번째 대상지로 통영시와 경북 포항시를 선정한 데 따른 것이다. 이 사업은 민간 투자와 재정 지원을 연계해 지역의 해양자원과 문화적 매력을 높여 글로벌 해양레저관광 명소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멕시코에 있는 유명 휴양지 ‘캉쿤’을 모티브로 삼았다. 통영은 민간기업 2곳의 투자 9400억 원과 국·지방비 2000억 원 등 총사업비 1조1400억 원이 투자된다.

도는 통영을 역사, 예술, 문화 콘텐츠를 결합한 ‘체류형 복합 해양레저관광도시’로 조성할 방침이다. 제조업 중심의 주력 산업으로 발전 가능성에 한계가 있어 수도권에 비교우위를 가지고 있는 관광산업을 새 주력산업으로 견인하겠다는 취지다. 앞서 확정된 남해안 섬 연결 해상국도, 남부내륙철도, 가덕도신공항 등과 연계해 국제적 해양관광 거점 도시로 거듭나게 하겠다는 게 경남도의 복안이다.

도는 ‘해양숙박’과 ‘해양레저’ 권역을 나눠 구성하고, 지역 특화 해상관광교통망과 연계할 방침이다. 도산면 수월리에는 한화호텔앤드리조트㈜가 8000억 원을, 도남동 도남관광지에는 금호리조트㈜가 1400억 원을 투자해 각각 리조트를 짓는다. 이와 연계한 재정사업으로 해양복합터미널과 요트클럽센터 등의 시설을 짓는다.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가 조성되면 연간 254만 명의 신규 관광객이 방문하고, 3243억 원 규모의 관광 소비와 2454명의 고용 창출 효과가 예상된다. 경남도 관계자는 “섬 호핑 투어 등 요트 산업 기반의 해양레저 대중화와 체류형 관광을 확대할 뿐만 아니라 요트 운항·정비·보관에 필요한 기반 시설을 확충할 것”이라며 “국내 및 세계 요트대회를 유치하고, 나아가 해양레저산업 생태계가 자연스레 형성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통영을 거점으로 지역경제 동반성장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거제, 부산, 남해, 여수와 연계한 광역 해상관광루트 개발과 남해안 해양레저 클러스터 구축을 통해서다. 박 지사는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는 남해안의 해양관광 가치를 한층 끌어올릴 수 있는 전략사업이 될 것”이라며 “남해안 섬 연결 해상국도 노선과 연계해 남해안 전역을 세계 속의 해양레저관광벨트로 조성하겠다”고 강조했다.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통영시#경남도#해양레저#관광산업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