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열질환자 3200명 돌파…폭우로 ‘일일’ 환자 수는 줄어

  • 뉴스1

코멘트

지난해 2배 넘는 규모…집중호우로 전날엔 36명으로 줄어

폭염이 계속된 지난 1일 대구의 한 야외주차장에 세워진 차량 온도계가 42도를 가리키고 있다. 뉴스1
폭염이 계속된 지난 1일 대구의 한 야외주차장에 세워진 차량 온도계가 42도를 가리키고 있다. 뉴스1
올여름 폭염이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온열질환자가 3200명을 돌파했다. 다만 폭우가 내리면서 일일 발생 환자 수는 두 자릿수로 줄었다.

4일 질병관리청 온열질환 감시체계에 따르면 전날(3일) 온열질환자는 36명 발생했다.

지난 5월 15일부터 가동된 감시체계로 집계된 온열질환자 수는 총 3216명이다. 지난해 5월 20일부터 가동된 감시체계로 집계된 온열질환자 수(1546명)의 2배가 넘는 규모다.

다만 일일 환자 수는 지난 1일(105명), 2일(108명) 세자릿수에서 두 자릿수로 줄었다. 전날 전국에 집중 호우가 내린 까닭으로 풀이된다.

일일 환자 수는 지난달 22일(149명)부터 지난 2일까지 하루(지난달 31일)를 제외하고 계속 100명대로 집계됐다.

전체 환자 중 남성이 78.1%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연령대별로는 50대(19.5%)가 가장 많았고, 60대(19%), 40대(12.6%), 30대(12.4%) 순이었다.

직업별로는 단순 노무 종사자가 25.9%로 가장 많았으며 무직(노숙인 제외) 14.6%,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7.1%가 뒤를 이었다.

질환별로는 열탈진이 61.7%를 차지했다. 이 외에 열사병(16.1%), 열경련(12.6%) 순으로 발생했다.

환자 대부분은 실외에서 발생했다. 작업장이 31.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이어 길가(12.5%), 논밭(11.6%), 운동장·공원(5.4%)에서 환자가 많이 발생했다. 실내에서는 작업장(7.2%), 집(6.2%) 등으로 나타났다.

온열질환은 고온 환경에 장시간 노출됐을 때 발생하는 급성질환으로, 적절한 조치를 받지 않으면 생명이 위험해질 수 있다.

증상에 따라 열탈진, 열사병, 열경련 등으로 나뉜다. 열탈진은 땀을 과도하게 흘려 창백함, 어지러움, 구토 등이 나타나며 열사병은 체온이 40도 이상으로 상승하고 의식 저하나 혼수상태로 이어질 수 있다. 열경련은 탈수로 인한 근육통과 경련이 주요 증상이다.

야간에도 주의해야 한다. 열대야는 수면장애뿐만 아니라 피로감, 두통, 식욕부진, 집중력 저하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실내 온도 조절과 수분 섭취, 충분한 휴식 등 기본적인 생활 수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