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유방암 환자, ‘이 유전자’ 때문…국제 학술대회서 주목

  • 뉴시스(신문)

코멘트

최우수 연제상·포스터상 동시 수상

뉴시스
국내에서 30~40대의 젊은 여성 유방암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의료진이 ‘MYC 유전자’가 관여를 한 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국립암센터는 정소연 유방암외과 교수와 강민채 표적치료연구과 연구원이 지난달 3~4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제5회 아시아종양학회(AOS) 및 제51차 대한암학회 공동학술대회’에서 각각 ‘최우수 연제상’과 ‘최우수 포스터상’을 수상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암 분야 국제학회인 아시아종양학회와 국내 암 연구를 대표하는 대한암학회가 공동 주최했으며 국내외 연구자들이 최신 암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장이었다.

정소연 교수는 전체 초록 중 단 4명에게만 수여되는 ‘최우수 연제상’의 영예를 안았다.

정 교수는 카이스트 최정균 교수 연구팀과 협업해, 젊은 여성에게 유방암이 증가하는 생물학적 원인을 규명하고자 최신 유전자 분석기법을 활용해 암세포 및 주변 미세환경을 정밀 분석했다. 그 결과 젊은 유방암 환자에서는 암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MYC 유전자’의 활성이 높고, 염증성 섬유세포가 많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MYC 유전자는 세포의 성장과 분열을 조절하는 유전자로, 원래는 몸의 정상적인 성장에 필수적이지만 지나치게 활성화되면 세포가 과도하게 증식하면서 암세포가 빠르게 자라고 퍼지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면역 회피 및 치료 저항성과도 관련이 있어, 향후 연령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에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강민채 연구원은 유방암 또는 난소암 진단 후 유전자 검사를 받은 한국 여성 1045명을 대상으로, 환자가 자신의 질병을 어떻게 인식하느냐가 정신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다.

연구 결과, 질병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 클수록 우울, 불안, 재발에 대한 두려움이 심해졌으며 이러한 심리 상태는 암의 병기나 진단 연령만큼이나 환자의 정신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됐다. 해당 연구는 학술대회에서 ‘최우수 포스터상’을 수상하며 학술적 의의와 임상적 가치를 동시에 인정받았다.

두 연구의 책임연구자인 공선영 진단검사의학과 교수는 “이번 수상은 오랫동안 공동 연구를 함께해 온 유방암센터 및 자궁난소암센터와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진 것”이라며 “앞으로도 유전 및 정밀의료 기반의 암 진단과 관리 연구를 통해 임상 현장에서 환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