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광어·우럭 양식장 ‘폐사 사태’…횟감 가격 급등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8월 7일 11시 43분


코멘트

고수온에 직격탄…눈물 머금고 방류
광어 1kg 1만9000원…50% 이상 올라

6일 전남 신안군 흑산면 양식장에서 어민들이 고수온에 폐사한 우럭을 건져 올리고 있다. 전남도 제공
“2년 연속 고수온 피해라니, 이제 어떤 물고기를 키워야 할지 막막합니다.”

7일 전남 신안군 흑산면 장도 해상 양식장에서 어민 김정혁 씨(55)는 고수온에 폐사한 조피볼락(우럭)을 건져 올리며 망연자실한 모습으로 이렇게 말했다. 우럭 양식장은 한 칸(가로 5m·세로 11m)에 6500~7000마리를 키우는데 이날 칸마다 200~300마리씩 배를 드러내고 죽은 채 떠올랐다. 어민들은 해상 양식장 그물을 들어 올릴 때 우럭에게 스트레스를 줄 수 있어 폐사한 물고기만 건져 올리고 있다.

김 씨는 “지난해엔 8월 말부터 피해가 시작됐지만, 올해는 7월 말부터 우럭이 하나둘 폐사하기 시작했다”며 “고수온이 평년보다 2주 빨라져 올해 피해가 더 클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25년 동안 우럭 등을 양식한 김 씨는 고수온에 취약한 우럭 대신 농어를 소량 양식해 보는 등 대체 어종을 찾고 있다.

흑산도 해상은 목포항에서 뱃길로 100㎞ 떨어진 먼바다로 수온이 적당해 어가 50곳에서 우럭을 양식한다. 현재 흑산도 일대 8곳 양식장에서 우럭 2만1000마리가 폐사한 것으로 파악됐다. 고수온 피해는 계속 확산될 전망이다.

완도군 군외면 양식어가 6곳도 고수온으로 넙치(광어) 5만3000마리가 폐사했다고 호소했다. 어민 이모 씨(36)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광어가 고수온으로 폐사했다. 고수온에 잘 견디는 대체어종을 찾고 있는데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처럼 어민들은 국민횟감 우럭과 광어가 고수온 직격탄을 맞고 있다.

지난해 전국적으로 고수온으로 어류 5300만 마리가 폐사해 1400억 원대 피해가 발생했는데 피해어종 70%가량은 우럭이었다. 전체 어류 폐사 시기도 8월부터 10월 초까지였다. 고수온에 약한 우럭의 한계수온은 28도, 광어는 29도다. 저수온에 약한 돔류는 참돔 기준으로 한계수온이 6.5도다.

6일 흑산면 양식장에서 어민들이 고수온에 폐사한 우럭을 건져 올리고 있다. 전남도 제공
국립수산과학원은 지난달 평균 수온은 26.3도로 최근 30년 수온 관측 이래 가장 높았다고 밝혔다. 지난달 수온은 평년수온보다 2.75도 높았다. 국립수산과학원 관계자는 “고수온은 폭우 등으로 주춤했다가 곧바로 날이 개면 다시 달궈진다. 일반적으로 8월 중순쯤 고수온 최고점을 찍는다”고 말했다.

평년보다 2주가량 빠른 고수온 현상에 어민들은 우럭 등을 긴급방류하고 있다. 전남 어민들은 우럭 142만 마리를 긴급 방류하는 등 41어가에서 우럭 319만 마리를 방류하겠다고 신청했다. 충남은 우럭 190만 마리, 경남은 우럭·말쥐치·볼락 등 90만 마리 방류 신청을 하는 등 어민들이 고수온 피해를 우려해 눈물을 어린 선택을 하고 있다. 긴급방류도 역대 최고물량을 기록하고 있다. 또 상당수 어민은 어패류를 조기출하하고 있다.

고수온 피해가 반복되면서 최근 국민횟감 광어는 ㎏당 1만9000원, 우럭은 1만5000원으로 지난해에 비해 50% 이상 올랐다. 수산당국은 고수온에 강한 대체 어종을 개발하고, 해수 순환여과식 육상양식장을 확대해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응에 나섰다.

#고수온#우럭#광어#양식장#수온상승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