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도는 산불 막는다” vs “산불 키운다”…국회서 뜨거운 산림 논쟁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8월 11일 10시 53분


코멘트
5일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임도 확충, 숲 가꾸기 사업의 적절성과 관련해 산림경영 논쟁 토론회가 열린 모습. 산림청 제공
산림청의 임도(林道) 확충 및 숲 가꾸기 사업과 관련해 찬성과 반대 측 전문가가 한자리에 모여 열띤 토론을 벌였다.

11일 산림청에 따르면 최근 국회에서 열린 산림경영 논쟁 관련 토론회에서 반대 측은 숲 가꾸기와 임도 확충 무용론을 주장했다. 최병성 기후재난연구소 상임대표는 “일본은 한국 산림 면적의 4배지만 예산 규모는 비슷하고 산불 발생은 절반 수준”이라며 “임도가 산불 진화에 필요하다고 하지만 열기로 인해 무용지물”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인공지능에 물어보니 임도는 오히려 산소를 공급하는 바람길이라는 답이 나왔다”고도 했다.

홍석환 부산대 조경학과 교수도 “경남 산청군 산청읍 모고리 산사태 지역은 벌목과 조림을 거친 곳이고, 인근 다른 지역도 숲 가꾸기를 한 지 2년 만에 산사태가 발생했다”라며 “숲 가꾸기는 습한 숲을 건조하게 만들고, 바람 세기를 강하게 해 산불을 악화시킨다”고 했다.

반면 찬성 측은 ‘임도 무용론’이 기후 변화와 국내 토양 요건을 고려하지 않은 비과학적인 주장이라고 맞섰다. 박현 서울대 산림과학부 객원교수는 “토양과 환경을 무시한 일방적인 비교보다는 국내 숲 환경을 이해해야 한다”라며 “국내 산림은 피복 기간이 짧아 토양 내 양분(유기물)이 많지 않다. 맨땅에 놓고 잘 자라길 바란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맞받았다. 이어 “선진국처럼 토양이 좋지 않으니 숲의 생장이 오래 유지되지 못하고, 토심(흙의 두께)이 1m 이내로 얕아서 산사태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2022년 경북 영덕 지역 산불로 405ha(헥타르)가 탔는데, 임도 주변으로 차단된 모습이 일부 보인다. 모든 임도가 산불을 확산시키고 산사태를 유발한다는 것은 비과학적인 주장”이라고 했다.

엄태원 우탄숲복원생태연구소장도 “산불이 번지고 나서 헬기나 비행기를 투입하는 것은 소용없다”며 “나무 위로 불이 번지기 전에 밑에서 불이 났을 때 빨리 끄는 것이 중요하며, 임도는 신속한 대응 시간을 확보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했다.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