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에… 국내서 짧게 ‘짠물’ 휴가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8월 12일 03시 00분


코멘트

직장인 84% “올 여름휴가 국내서”
10월엔 긴 추석연휴… 비용 줄이기
휴가지선 직접 장봐 숙소서 식사
몰캉스 인기에 매출 16% 늘기도

“올해는 추석 연휴도 길잖아요. 휴가를 두 번이나 가기엔 경제적으로 부담이 될 것 같아서 올여름 휴가는 남해에 머물면서 보내려 합니다.”

이달 말 여름 휴가가 예정돼 있다는 직장인 김모 씨(29)는 11일 이렇게 말했다. 김 씨는 “너무 유명한 관광지는 휴가철이면 붐비고 비싸서 다녀 오면 쉰 게 아니라 오히려 피곤하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이번 휴가 때는 지역민들이 자주 가는 식당을 이용하고, 시장에서 장을 봐서 숙소에서 해결하며 여유로운 휴가를 보낼 생각”이라고 했다.

고물가와 긴 추석 연휴가 맞물리며 올여름 휴가는 가까운 곳으로 짧게 가는 ‘미니 휴가’를 선호하는 이들이 많다. 대한상공회의소가 6월 발표한 직장인 여름휴가 계획 및 정책과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직장인 800명 중 83.5%는 국내 여행을 선호한다고 답했다. 일정은 2박 3일(38.9%)이 가장 많았고, 이어 3박 4일(22.7%), 1박 2일(21.3%) 순이었다.

이 같은 현상은 10월 초 7일간의 추석 연휴(10월 3∼9일)와 함께 고물가가 이어지며 여름 휴가 비용을 줄이려는 ‘짠물 휴가’ 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전미영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연구위원은 “올해가 다른 해에 비해 휴가가 많다 보니 여행 수요가 분산되며 근거리 여행에 대한 수요가 더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며 “여기에 경기 불황까지 겹치며 국내 관광을 선택하는 경우가 생겨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휴가지에서도 지역 시장이나 마트에서 장을 봐 숙소에서 직접 조리해 먹는 등 가성비 휴가를 보내는 여행객들이 늘고 있다. 얼마 전 부모님과 함께 강원 속초시로 여행을 다녀온 직장인 김모 씨(41)는 “주방이 딸린 콘도를 예약해 마지막 날에는 전통시장에서 지역 특산품을 구매한 뒤 숙소에서 저녁 식사를 해결했다”며 “요즘 물가가 올라 생활비도 많이 나가는데 휴가비라도 아끼자는 마음”이라고 했다. 세종에 거주하는 강모 씨(32)도 “요새 물가가 너무 비싸서 인근 마트에서 장을 봐 글램핑을 다녀오는 정도로 여름 휴가를 대체했다”며 “1박에 15만 원 정도로 비교적 저렴해서 만족스러웠다”고 했다.

가성비 휴가를 선호하는 흐름은 ‘몰캉스(쇼핑몰 바캉스)’ 인기에서도 알 수 있다. 신세계백화점에 따르면 부산 센텀시티점은 지난달 매출이 지난해 동기 대비 6% 늘었다. 신세계백화점 관계자는 “센텀시티 내 스파랜드와 아이스링크 등 다양한 가족 단위 여행객이 즐길 수 있는 시설들의 이용객 수가 늘었다”고 했다. 지난달 4∼5주 차 기준 김포, 송도 등 현대프리미엄아울렛 4곳의 매출 역시 지난해 동기 대비 15.8% 늘었다. 방문한 고객 수 증가 추이만 놓고 보면 18.7% 가까이 증가했다. 부산지역의 교외형 아울렛인 롯데프리미엄아울렛 동부산점도 지난달 4∼5주차 기준 전년 대비 13% 신장세를 기록했다.

곽금주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는 “무더운 날씨 여파로 시원한 실내에서 여가를 즐기려는 수요가 늘면서 식사와 쇼핑 등 즐길거리들이 한곳에 갖춰진 백화점과 마트에도 피서객이 몰리고 있다”고 했다.

#여름휴가#고물가#국내여행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