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 가담 의혹 해경 간부 대기발령

  • 동아일보

코멘트

‘서울 충암고 출신’ 안성식 치안감
비상계엄 선포 직후 내부회의서
“총기 휴대” “수사인력 파견” 발언
최근 논란 커지자 직무서 배제… “단순 언급일뿐 지시한 건 아냐”

인천 연수구 송도동 해양경찰청 청사 전경. 최근 해양경찰청 고위 간부가 12·3 비상계엄 사태에 가담하려 했다는 의혹으로 대기발령 조치됐다. 해양경찰청 제공
인천 연수구 송도동 해양경찰청 청사 전경. 최근 해양경찰청 고위 간부가 12·3 비상계엄 사태에 가담하려 했다는 의혹으로 대기발령 조치됐다. 해양경찰청 제공
서울 충암고 출신 해양경찰청 고위 간부가 12·3 비상계엄 당시 ‘합동수사본부가 구성되면 수사 인력 파견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던 것을 놓고 계엄 사태에 가담하려 했다는 의혹이 커지고 있다. 해경청은 “개인 의견이었고 회의에서 공식적으로 논의되거나 그에 따른 어떠한 조치도 없었다”고 선을 그었지만, 해당 간부를 업무에서 배제하면서 내부는 술렁이는 분위기다.

해경청은 최근 본청 기획조정관 겸 차장 직무대행직을 맡고 있던 안성식 치안감을 대기발령 조치했다고 19일 밝혔다. 해경청은 최근 안 치안감이 비상계엄 사태에 연루됐다는 논란이 커지자 정상적인 직무 수행이 곤란하다고 판단해 이같이 조치했다고 설명했다.

문제가 된 안 치안감의 발언은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이 선포된 직후 내부 회의에서 나왔다. 당시 해경청은 비상계엄이 선포되자 전국 지휘관 화상회의를 소집했다. 회의 시작 전 간부들이 속속 도착하던 중 안 치안감은 일부 간부가 모인 상황에서 직원들의 총기 휴대와 합수부 구성 시 수사 인력 파견이 필요하다는 취지로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들은 일부 간부는 월권이라며 반발하기도 했다고 한다. 안 치안감은 또 이 자리에서 계엄 사범을 의식한 듯 일선 해양경찰서 유치장 정비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펼친 것으로 알려졌다.

안 치안감은 구속 수감 중인 윤석열 전 대통령,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등과 같은 충암고 출신이다. 2022년 윤 전 대통령 당선 후 해경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파견됐다. 이후 대통령실 국정상황실 등을 거쳐 2023년 총경에서 경무관으로, 지난해 경무관에서 치안감으로 윤석열 정부에서 2년 사이 두 계급 승진했다.

치안감은 치안총감, 치안정감에 이어 해경에서 세 번째로 높은 계급이다. 해경은 경찰과 달리 치안감 계급부터 해경청장 임명이 가능해 차기 해경청장 후보군으로 분류되는데, 현재 해경 내 치안감 이상 계급은 치안총감인 해경청장을 포함해 7명뿐이다.

해경은 그간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한 논란이 크지 않았는데, 뒤늦게 의혹이 제기되면서 뒤숭숭한 모습이다. 특히 비상계엄 사태에 대한 내란 특검 등의 수사가 진행 중인 상황이라 수사 향방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안 치안감이 직무에서 배제돼 해경 내 2인자인 본청 차장과 기획조정관 자리가 모두 공석이 돼 지휘부 공백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해경청은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선포로 인한 전국 지휘관 화상회의 직전 일부 직원들이 모인 자리에서 (안 치안감이) 비상시 파출소 청사 방호를 위한 총기 휴대 검토, 합수부 구성 시 수사 인력 파견 검토를 언급한 사실은 있다”면서도 “회의에서 논의되거나 이에 따른 어떠한 조치도 없었다”고 밝혔다. 또 “(안 치안감이) 유치장 점검이 필요하다는 개인 의견을 언급하긴 했지만 이를 지시할 위치에 있지 않았고, 본청에서도 일선 현장으로 이러한 지시를 한 적이 없다”고 했다.

#해양경찰청#비상계엄#안성식 치안감#합동수사본부#수사 인력 파견#계엄 사태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