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 열차사고 7명 사상…‘충돌’ 못 피한 이유는?

  • 뉴스1

코멘트

‘대피 공간 확보’ 코레일 내부 규정 안 지켜져
근로자들 “적당히 알아서 대피해야 하는 상황”

19일 오전 10시 52분쯤 경북 청도군 화양읍 삼신리 청도소싸움 경기장 인근 경부선 철로에서 마산으로 향하던 무궁화 열차가 선로에서 작업하던 근로자 7명을 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2025.8.19/뉴스1
19일 오전 10시 52분쯤 경북 청도군 화양읍 삼신리 청도소싸움 경기장 인근 경부선 철로에서 마산으로 향하던 무궁화 열차가 선로에서 작업하던 근로자 7명을 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2025.8.19/뉴스1
19일 경북 청도군 화양읍 경부선 철로에서 열차에 치인 근로자 2명이 숨지고 5명이 부상한 사고로 관련 업무에 대한 안전 관리 강화 필요성이 거듭 제기되고 있다.

20일 경북경찰청 등에 따르면 전날 오전 10시 45분쯤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직원 1명과 하청업체 소속의 구조물 안전진단 연구원 6명이 철로 인근 수해 지역 비탈면 옹벽 구조물 안전 점검을 위해 선로를 따라 이동하던 중 뒤에서 달려온 무궁화호 열차에 부딪히는 사고가 나 인명피해로 이어졌다.

코레일 내부 규정을 보면 선로 작업시엔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열차가 왔을 때 피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야 한다.

그러나 현장 확인 결과, 해당 선로 옆엔 자갈 노상이 있고, 그 옆엔 숲이 우거져 있었다. 사고 당시 근로자들은 우거진 숲으로 인해 시야가 제한적이어서 자칫 발을 헛디뎌 넘어질 수 있다고 판단해 자갈 노상을 지나갔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현장 사진만 보면 작업자들이 대피할 공간이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며 “어떤 사정이 있었는지 구체적으로 들여야 봐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2019년 경남 밀양역 인근 선로에서도 철로 작업을 하던 노동자 3명이 열차에 치여 1명이 숨지고 2명이 중상을 입은 사고가 났다. 이 사고 이후 일부 철로 작업은 열차 운행을 차단한 채 주간에 하지만, 선로 점검 등은 아직도 열차가 운행하는 중에도 이뤄지고 있다.

이 때문에 현장 근로자들은 “열차를 피해 대피할 공간이 없고 적당히 알아서 피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사고 위험성이 상존해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전국철도노동조합 관계자는 “작업자들이 열차가 다가오면 알림을 주는 무전기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안전을 위해 선로를 차단하고 작업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코레일은 경영 이윤 등을 이유로 노사 합의를 거절했다”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주간 작업을 야간에 진행하자고 주장하고 있는데, 이 부분은 코레일도 일정 부분 동의하고 있다”며 “다만, 야간엔 교대 근무로 인해 인력 충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국토교통부가 허용해 줘야 한다”고도 말했다.

노조 관계자는 “윤석열 정부는 코레일 직원 1000여명을 감축했다”며 “현장 안전을 강조하는 이재명 정부가 이번 문제를 관심 있게 들여야 봤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전했다.

경북경찰청은 수사전담팀을 편성해 열차 사고 수사에 착수했고, 고용부는 이번 사고를 중대재해로 보고 조사에 들어간 상황이다.

(청도=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