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한복판에 쥐 출몰…서울시, 하수도 정비·방역 강화

  • 뉴스1

코멘트

폭우로 하수관 침수·재개발로 서식지 이동 영향
야생 너구리 출몰도…광견병 예방약 살포 추진

(서울시 제공)
(서울시 제공)
서울시는 기후변화로 도심 내 쥐와 야생 너구리 출몰이 늘어남에 따라 하수도 정비와 쓰레기 관리, 집중 방역 등 대응을 강화한다고 26일 밝혔다.

최근 급격한 쥐 출몰 증가는 폭우로 인한 하수관 침수, 재개발 공사로 인한 서식지 이동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시는 쥐가 서식할 수 있는 환경 차단을 위해 최근 5년간 1008㎞의 노후 하수관로를 정비했으며 오는 9월부터 연말까지 하수관로 2000㎞ 준설을 추진한다.

빗물받이 70만 개소 청소, 노후관로 53㎞ 정비도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 또 2030년까지 매년 노후 하수도를 200㎞ 규모로 정비해 나갈 계획이다.

음식물쓰레기 감량과 관리를 통해 쥐 먹이원도 차단하고 있다. 지난해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량은 2370톤으로 10년 전보다 약 25% 줄었다.

시는 민원 다발 지역을 대상으로 ICT 기반 스마트 트랩을 활용한 집중 방제도 병행하고 있다. 재개발·철거구역 등 위생 취약 지역에 대해서는 정기 방역을 진행할 예정이다.

쥐 매개 감염병 발생 역시 안정적으로 관리 중이다. 서울시 렙토스피라증·신증후군출혈열 환자 수는 최근 수년간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사망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올해 상반기 렙토스피라증 환자는 전국 20건(서울 0건), 신증후군출혈열은 전국 101건(서울 3건)으로 집계됐다.

시는 이와 함께 최근 출몰이 늘어난 야생 너구리에 대해서도 감염병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광견병 미끼 예방약’ 살포를 지속하고 있다.

시는 앞으로도 구서 활동, 하수도 정비·녹지 확대, 음식물쓰레기 관리 강화, 건축 설계 단계 방서 설계 반영 등 종합 대책을 지속할 계획이다.

공공 구역에서 쥐와 너구리 발견 시 직접 접촉을 피하고 120 다산콜센터나 관할 보건소에 신고해야 한다.

이수연 서울시 정원도시국장은 “시민들께서는 쥐 발견 시 즉시 신고하고, 음식물쓰레기 배출 요령 준수와 개인위생 관리에 협조해 주시기를 바란다”며 “최근 출몰이 늘어난 야생 너구리도 불필요한 접촉을 피하고 발견 즉시 신고하는 등 안전 수칙을 지켜달라”고 당부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