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청년들의 5년 후 금융 상황을 예측해주는 서비스를 선보였다. 청년 340만 명을 성별·연령·직업군 등 7000여 개 그룹으로 세분한 뒤, 5년간의 금융 상황 변화를 빅데이터로 분석해 결과를 제시하는 방식이다.
28일 서울시는 신한은행·KB국민은행·우리은행 등 주요 은행과 협력해 미래 금융·경제 상황을 미리 체험할 수 있는 ‘청년 금융 타임머신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공공과 민간의 데이터를 결합해 출시한 첫 청년 맞춤형 금융 서비스다.
이 서비스는 만 19세 이상∼39세 이하 청년이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나이, 소득, 직업, 자산 보유 여부 등 기본 정보를 입력하면 5년 뒤 자신의 경제 상황을 예측해준다. 청년 340만 명의 금융 데이터를 기반으로 결과를 산출하며, 2018년 당시 동일 조건을 가진 집단의 5년 후 평균 소득·저축·대출·자산 규모를 토대로 시뮬레이션을 제공한다. 여기에 민간 금융상품을 제안하고 청년 지원정책도 연계해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했다.
서울시는 서비스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청년 금융 데이터베이스를 매년 갱신할 예정이다. 또한 서비스 이용자 수와 금융상품 이용 현황 등을 핵심 성과지표(KPI)로 관리해 서비스 효과를 측정할 계획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