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고교 7곳 폭탄” 또 日변호사 사칭 협박… 일부 학교, 학생 귀가 조치-운동장 대피 소동

  • 동아일보

코멘트

경찰 “위험 낮다고 판단, 순찰만 강화”
수험생 “수능 코앞인데…” 불안감

ⓒ 뉴스1
ⓒ 뉴스1
서울 시내 고등학교 7곳에 ‘교내에 폭발물을 설치했다’는 내용의 협박 팩스가 잇따라 전달되면서 등교 중이던 학생들이 귀가하는 등 소동이 벌어졌다. 이번에도 일본 변호사를 사칭하며 발신 경로를 숨긴 허위 협박으로 확인됐다. 잇따른 학교 테러 예고에 학생과 학부모는 공포를 호소했다.

28일 경찰에 따르면 이날 오전 서대문구 한성과학고에서 폭발물 설치 협박 팩스가 전송됐다. 서울고와 경기고, 대일외고 등 다른 학교 6곳에도 같은 내용의 팩스가 전날 밤부터 차례로 도착했다.

이번 협박은 최근 잇따른 ‘일본 변호사 사칭’과 같은 유형으로 확인됐다. 최근 몇 년간 실존하는 특정 일본 변호사의 이름을 도용해 발신인을 꾸민 협박 e메일과 팩스가 국내는 물론이고 해외 여러 학교와 공공기관에 발송됐다. 경찰 관계자는 “위험도는 낮다고 판단해 경찰특공대를 출동시키지는 않았다. 그 대신 순찰을 강화하는 등 안전 조치를 취했다”고 밝혔다.

일부 학교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학생들을 대피시켰다. 한성과학고는 긴급문자를 통해 학부모와 학생들에게 “메시지를 받는 즉시 귀가해달라”고 안내했다. 다른 한 학교도 오후 1시 8분경 협박 팩스를 받은 후 학생 1000여 명을 운동장으로 대피시켰다가 오후 2시 전교생을 귀가시켰다.

계속되는 허위 협박에 학부모와 학생들은 불안감을 드러냈다. 고3 수험생 김모 군(18)은 “수능이 코앞인데 허위 폭발물 협박이 계속돼 신경이 쓰인다”고 말했다. 앞서 25일과 27일에도 서울 시내 초등학교와 중학교 3곳에 폭발물 협박 팩스가 잇따라 접수된 바 있다.

폭발물 설치 등 허위 신고로 인한 경찰 출동은 매년 늘고 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양부남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경찰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허위 신고 출동은 2022년 4235건에서 지난해 5432건으로 28.3%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테러 협박처럼 신원 위조나 가상사설망(VPN), 다중 인터넷 라우터 사용 등 최신 기술을 악용한 협박이 늘고 있어 대응 강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이윤호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명예교수는 “허위 협박 수법이 갈수록 정교해지고 있어 해결이 점점 어려워질 수 있다”며 “단순한 장난이라도 심각한 피해를 초래하는 만큼 수사 기법과 대응 체계를 고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폭발물 설치 협박 팩스#대피#허위 신고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