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인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센트럴파크 인근 주상복합아파트 1층 상가에 붙은 작은 현수막들. 인천지역 상가 공실률이 올해 들어 더욱 높아지면서 상업시설 비율을 적극적으로 낮춰야 한다는 여론이 커지고 있다. 차준호 기자 run-juno@donga.com
1일 인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센트럴파크 인근 주상복합아파트 1층 상가. 상가 유리창에는 임대를 알리는 자그마한 현수막이 빼곡하게 붙어 있었다. 2023년 1월경 아파트 입주가 시작됐지만 1, 2층 상가는 2년이 지나도록 상당 부분 공실로 남아 있다.
이 주상복합아파트 상가 2층에서 도넛과 커피를 판매하는 자영업을 하다가 2년여 만에 장사를 접은 주부 김모 씨(33)는 “장사를 시작한 뒤 6개월 후부터 매월 300만∼400만 원씩 적자가 나 장사를 그만둘 수밖에 없었다”며 “지금은 파트파임으로 일하면서 번 돈으로 장사를 하면서 받은 대출금을 갚느라 허리가 휠 지경”이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최근 입주를 시작한 송도국제도시 6공구 주변 주상복합아파트 상가들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송도국제도시의 상업용지 비율은 6.4%로 인근 경기 시흥 배곧신도시(2.7%), 경기 하남 위례신도시(1.9%)에 비해 높아 상업시설이 과잉 공급된 상황이다.
공인중개사 등 부동산 전문가들은 “송도 상가 공실률이 심각한 수준으로 도심 활성화를 저해하는 만큼 인천시와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적극 나서 용도지역 변경, 지구단위계획 변경 등 다양한 도시계획 변경 절차를 통해 상업시설 비율을 낮춰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송도를 비롯한 인천지역 상가 공실률이 올해 들어 많이 늘어나면서 상권 붕괴는 물론이고 인천이 ‘자영업자의 무덤’이 되고 있다는 여론이 확산하고 있다.
3일 한국부동산원 부동산 통계 시스템에 따르면 인천의 소규모 상가 공실률은 올해 2분기(4∼6월) 기준 10.4%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공실률(7.3%)보다 3%포인트 넘게 오른 것이다.
아파트·오피스텔 등 주거시설에 입점한 상가인 집합 상가 공실률과 3층 이상 건축물에 해당하는 중대형 상가의 공실률도 각각 12.6%와 9.3%를 기록하고 있다.
소규모 상가가 몰려 있는 남동구 구월동 일대 공실률은 무려 33.9%에 이른다. 3곳 중 1곳이 텅 빈 상가로 남아 있는 셈이다. 중구 영종국제도시와 남동구 간석오거리 일대 집합 상가 공실률도 25%를 웃돌고 있다. 원도심권인 중구 신포동과 부평구 부평동 일대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각각 24.5%와 18.3%에 달한다.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한 인천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는 시의회 별관 5층에서 지난달 28일 ‘인천 상업용지 정책 개선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참석한 전문가들은 인천지역의 지나친 상업시설의 공급 과잉을 지적했다.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우명제 교수는 “신도시 개발 과정에서 일자리 창출 목적으로 계획된 자족 용지에 상업용지가 많이 포함됐다”며 “소비 수요를 정확히 예측하지 않은 채 공급에 치중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인천연구원 배덕상 연구위원은 “건축 계획이 나오면 이를 심의하는 지방자치단체가 시장 진단을 통해 주거용지와 상업용지의 비율을 결정하는 유연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인천시 도시계획 조례 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현행 도시계획 조례는 주거시설의 과도한 공급을 막고 상업시설을 일정 비율 이상 공급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주거용지와 상업용지 비율이 정해져 있는 현행 용도지역 관리 체계를 좀 더 유연하게 탄력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정은애 연구위원은 “상주인구 중심의 수요 예측에서 벗어나 교통, 방문 인구, 소비 유형 등 다양한 변수가 반영된 상권 평가 기준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인천시의회 김대중 건설교통위원회 위원장은 “토론회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계획 조례 개정 검토를 비롯해 개발사업 진행 및 상가 모니터링, 상가 의무 비율 과도 적용 사업지 정책 개선 등 후속 조치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