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4일 “부산 시내버스 준공영제가 도입된 지 18년이 됐지만 수송 분담률은 20% 이하에 머물러 매년 답보 상태”라며 “그럼에도 연간 3000억 원에 달하는 재정지원금으로 인한 부담이 크다. 재정 절감과 함께 시내버스 이용 편의성, 운행 효율성, 수송 분담률을 높이는 방향으로 준공영제를 혁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준공영제는 시내버스 운송 적자를 부산시 예산으로 보전하는 제도다. 지난해 부산 시내버스의 수송 분담률은 약 18%였으나 재정 적자는 2820억 원에 달했다.
부산경실련은 준공영제 혁신 방안으로 △시내버스 감차 △시내버스 업체 통폐합 △시민 중심의 시내버스 서비스 혁신 △요금 현실화 △시내버스 준공영제 혁신 민관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부산경실련은 “이용률이 높은 노선은 유지하고 비주력 노선을 우선 폐지하는 방식으로 5년간 총 200대를 감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부산에는 2517대의 시내버스가 운행 중이다. 또 감차에 따른 적절한 지원금을 시가 제공하면서 차고지를 중심으로 버스 업체의 통폐합도 유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부산경실련은 “준공영제 혁신은 환승 편의성과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는 환승센터와 도심 스테이션 구축, 스마트 셸터 확대, 교통정보 시스템 개선 등을 제시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