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우정, 계엄직후 특활비 3억 사용 의혹…정성호 “진상조사”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9월 5일 16시 30분


코멘트
심우정 검찰총장이 사의를 표명한 1일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에서 검찰 깃발이 바람에 나부끼고 있다. 2025.07.01.뉴시스
심우정 검찰총장이 사의를 표명한 1일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에서 검찰 깃발이 바람에 나부끼고 있다. 2025.07.01.뉴시스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검찰의 특수활동비가 집중적으로 사용된 사안에 대해 대검찰청이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 구성비용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정성호 법무부 장관은 이에 대해 “진상 조사할 것”이라고 했다.

5일 대검은 심우정 전 검찰총장 재임 기간이었던 지난해 12월 3~6일 검찰의 특활비가 3억 원 넘게 지급됐다는 의혹을 파악한 뒤 이같이 밝혔다.

전날 국제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심 전 총장이 비상계엄 직후인 12월 3~6일간 12월 특활비의 절반가량인 45%를 집중적으로 집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권 일각에선 집행된 특활비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을 지원하기 위한 비용이라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정 장관은 법사위 전체회의에서 “정상적인 수사에 필요한 비용 집행이었는지를 대검 자체적으로 점검하고 있다”고 했다.

정 장관은 전날 페이스북에서도 “심우정 전 검찰총장이 12·3 비상계엄 직후 불과 4일간 특수활동비를 3억 원 이상 몰아 쓴 비정상적인 집행 실태가 드러났다”며 “과거 권력 남용과 감춰졌던 잘못들을 하나씩 바로 잡겠다”고 했다.

대검 측은 “12월 6일 내란 혐의 수사를 위한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를 구성하는 비용이 많이 들었다”며 “나머지는 통상적으로 매달 나가는 특활비”라고 설명했다.

내란특검(특별검사 조은석)은 지난달 25일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과 심 전 검찰총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압수수색했고 이달 2일 각각 출국금지 조치했다.

특검은 박 전 장관이 계엄 당일 호출한 국무위원 6명 중 1명으로 계엄 선포 직후 열린 법무부 실·국장 회의에서 ‘합동수사본부 검사 파견 검토’, ‘출국금지 팀 호출’ 등의 지시를 내려 계엄에 가담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특검은 올 3월 윤석열 전 대통령 구속 취소 결정 이후 검찰이 즉시 항고를 포기한 배경에 대해서도 심 전 총장을 중심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대검이 즉시 항고를 하지 않아 윤 전 대통령은 석방됐다.

#심우정#비상계엄#특활비 의혹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