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전기 불상 형식과 기법을 담고 있는 세종시 비암사 소조아미타여래좌상(사진)이 국가 지정 문화유산으로 지정된다.
14일 시에 따르면 전의면에 있는 비암사 소조아미타여래좌상이 국가보물로 지정 예고됐다. 향후 30일 동안 지정 예고 기간을 거쳐 국가유산청 문화유산위원회 심의가 끝나면 국가 보물로 최종 지정된다.
소조아미타여래좌상은 별도의 조성 발원문이 남아있지 않아 정확한 제작 시기와 조각승은 알 수 없다. 다만, 불상 얼굴과 이목구비 표현, 신체 비례 등 양식적 특징상 조선 전기(16세기)에 제작된 불상으로 추정된다. 방사성탄소연대 분석 결과 이 불상은 1508~1520년 사이 제작한 것으로 분석됐다.
소조아미타여래좌상은 높이 194.2㎝, 무릎 폭 132㎝로 나무로 윤곽까지 만든 후 소량의 흙으로 세부를 완성하는 방식으로 제작됐다. 일반적인 소조불은 나무로 개략적인 뼈대를 만들고 그 위에 흙으로 대부분의 상을 완성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조아미타여래좌상은 현존 수량이 얼마 없는 16세기의 불상으로서의 희소성과 부처의 몸에 갖추어진 용모와 형상의 표현에서 미술사적으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