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민’ 용어 바뀐다…‘하나민·통일민·북향민’ 등 후보

  • 뉴스1

코멘트

통일부 북한이탈주민학회에 연구용역 발주
“법적·및 사회적 용어 둘 다 대체 방안 모색”

통일부 사진.
통일부 사진.
통일부가 ‘북한이탈주민’이라는 법적 용어와 일상에서 사용하는 ‘탈북민’을 다른 말로 바꾸기 위한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다. ‘하나민’·‘북향민’ 등이 후보군인 것으로 16일 전해졌다.

통일부는 지난달 북한이탈주민학회와 북한이탈주민 및 탈북민 명칭 변경 필요성과 새 용어 후보군 등에 관한 연구용역 계약을 체결했다.

통일부 관계자는 “연구 결과는 11월에 나올 예정”이라며 “필요성이 확인되면 법 개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라고 말했다.

법적 용어인 북한이탈주민의 명칭 변경은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에 관한 법률’ 개정을 통해 이뤄질 예정이다.

북한이탈주민법 제2조에 따르면 ‘북한이탈주민’은 북한에 주소, 직계가족, 배우자, 직장 등을 두고 있었던 사람으로서 북한을 벗어난 후 외국에 체류하고 있는 사람(대한민국 국적을 가지려는 의사를 표시한 사람 포함)을 뜻한다.

그런데 지난해 7월 발표한 통일연구원 여론조사에 따르면 북한이탈주민이라는 법적 명칭 변경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탈북민이 58.9%로 조사 대상의 절반을 넘었다. 주로 ‘이탈’이라는 표현이나 ‘탈북’이라는 말이 주는 거부감 때문이다.

용어 변경에 찬성하는 탈북민에게 여러 대안의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하나민 27.9% △통일민 25.9% △북향민 24.2% △북이주민 9.3% △기타 8.7% 순으로 나타났다.

같은 조사에 따르면 일반 국민들도 ‘북한이탈주민’, ‘탈북민’ 등의 호칭의 어감이 다소 강하다는 공감대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탈북민이 아닌 국민이 선택한 대안으로는 △북향민 33.0% △북이주민 22.7% △하나민 19.7% △통일민 13.8% △기타 8.4% 순으로 파악됐다.

통일부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북향민 등은 현재 탈북민 사회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용어라서 정부가 대체 표현으로 제안하면 힘을 받고 공식적인 용어가 될 수 있지 않겠느냐”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탈북민 명칭 변경 연구용역 관련, 사회적 용어로서의 명칭과 함께, 법률 용어 변경 필요성을 모두 포함하여 현실적으로 가능한 방안을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법적 용어의 변경과 달리 일상 용어의 변경은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만만치 않다.

정부는 지난 2004년 정동영 통일부 장관 재임 때 ‘새로운 터전에서 삶의 희망을 갖고 사는 사람’이라는 뜻의 ‘새터민’이라는 말을 일상 용어로 제안했으나 당시에는 큰 호응을 얻지 못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