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2025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발표
피해 응답률 2.5%…초 5%·중 2.1%·고 0.7%
언어폭력, 집단따돌림, 신체·사이버폭력 순
ⓒ뉴시스
정부가 학교폭력(학폭)을 방지하기 위해 대학입학전형에 학폭 기록을 반영하는 등 다양한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학폭 피해 응답률은 5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교육부는 16일 2025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397만명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했으며 82.2%인 326만명이 조사에 참여했다. 조사 기간은 4월 14일부터 5월 13일까지다.
주요 결과를 보면 학폭 피해 응답률은 2.5%로 나타났다. 2020년 0.9%, 2021년 1.1%, 2022년 1.7%, 2023년 1.9%, 2024년 2.1%, 2025년 2.5% 등 5년 연속 증가했다.
2025년 기준 학교급별 학폭 피해 응답률은 초등학교 5%, 중학교 2.1%, 고등학교 0.7%다. 초등학교는 5년 연속, 중학교와 고등학교는 4년 연속 증가한 수치다. 특히 초등학교는 5%, 중학교는 2%를 돌파했다.
피해 유형으로는 언어폭력이 39%로 가장 많았고 집단 따돌림 16.4%, 신체폭력 14.6%, 사이버폭력 7.8%, 성폭력 6%, 강요 5.4%, 스토킹 5.3%, 금품갈취 5.1% 순이었다. 2024년과 비교하면 언어폭력(0.4%p)과 신체폭력(0.9%p)은 감소했지만 집단 따돌림(0.9%p)과 사이버폭력(0.4%p)은 증가했다.
학교급별로 보면 모든 학교급에서 언어폭력 비중이 가장 높았으나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언어폭력, 집단 따돌림, 사이버폭력, 성폭력은 증가했고 신체폭력, 강요, 금품갈취는 감소했다.
가해 응답률은 1.1%였으며 초등학교 2.4%, 중학교 0.9%, 고등학교 0.1% 등이다. 목격 응답률은 6.1%이고 초등학교는 10.2%, 중학교는 6.1%, 고등학교는 2.2%로 나타났다.
정부는 학폭 피해 응답률이 높아지는 원인 등을 파악하기 위해 8월에 간담회를 실시했는데 참석자들은 공통적으로 ‘교육·미디어 등을 통해 학교폭력 전반에 대한 인지가 높아지면서 민감도가 높아진 점’을 피해응답률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고 한다.
모상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학교폭력 예방교육지원센터장은 학교폭력을 줄이기 위해 “학생들이 스스로 갈등을 이해하고 조정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과정이 중요하다”며 “교육적 해결을 통해 학생들이 건강한 관계 맺기와 회복을 경험할 때 비로소 학교폭력 예방의 선순환이 이뤄질 수 있다”고 했다.
교육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와 현장 의견 수렴을 바탕으로 갈등의 교육적 해결 지원을 활성화할 예정이다.
사안 발생 초기에 학생과 학부모 대상 정보제공, 상담 기회를 넓히고 경미한 사안이 많은 초등학교 저학년 대상으로는 전담기구 심의 전 관계회복을 위한 조정 등을 진행하는 관계회복 숙려제도 도입을 추진한다. 또 하반기에는 사회정서 교육자료를 개발하고 내년부터 모든 학교에 도입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사이버폭력 예방·억제를 위해 범부처와 협력해 사이버폭력 예방교육을 확대하고, 사이버폭력에 대응할 수 있는 가해학생 조치 제도 개편과 가해학생 특별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 학교 내 불법촬영 및 딥페이크 성범죄 등 디지털 성폭력 예방을 위해 지역 내 양성평등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운영하고 있는 학교현장지원단 사업을 확대하고 학생 대상 디지털 성폭력 예방 및 대응교육도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이해숙 교육부 학생건강정책국장은 “학교 공동체의 신뢰 제고와 사회정서 회복이 시급하다는 점을 깊이 인식하고 학생들이 일상적 갈등을 교육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겠다”며 “다변화되는 사이버폭력 양상에도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