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일상활력 프로젝트’ 발표
시내-마을버스, 저상버스로 교체
서울시가 장애인을 위한 공공 일자리를 현재 연 5000개 수준에서 2030년 1만2000개 수준으로 확대한다. 시내버스와 마을버스도 단계적으로 교체해 모두 저상버스로 운영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1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530 장애인 일상활력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이 프로젝트는 장애인이 ‘아주 보통의 하루’를 누릴 수 있는 도시를 목표로 △일자리·소득 △주거·돌봄 △이동권·접근권 △인권·여가 등 4대 분야로 나눠 추진하는 5개년 계획이다. 매년 약 3400억 원씩 총 2조405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서울시는 2030년까지 사무보조·환경미화·바리스타·사서 등으로 일할 수 있는 공공 일자리를 1만2000개까지 늘릴 계획이다. 또 발달·뇌병변 등 중증 장애인에게 특화된 전문 직업학교를 새로 설립하고, 시내 기술교육원 3곳에는 목공·제빵 등 장애인 특화 과정을 신설한다.
장애인의 자기계발과 구직 활동을 지원하는 ‘서울형 개인 예산제’는 2030년까지 누적 2600명 지원을 목표로 한다. 지원금도 1인당 40만 원에서 50만 원으로 인상한다. 저소득 중증 장애인을 위한 ‘서울형 장애인 부가급여’는 월 4만 원에서 8만 원으로 두 배로 늘려 3만여 명에게 지급한다.
대중교통 접근성 개선도 추진된다. 서울시는 마을버스 전 노선을 2030년까지, 시내버스는 2032년까지 저상버스로 전면 교체할 계획이다. 다만 도로 높이·굴곡 등 운행 여건을 고려해 저상버스 운행이 가능한 노선만 대상으로 한다. 시 관계자는 “내부 분석 결과 시내버스 노선의 약 88%, 마을버스 노선의 약 47%가 저상버스 운행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주거 지원도 강화한다. 장애인이 최대 20년 거주할 수 있는 ‘장애인 지원주택’은 현재 336채에서 2030년까지 500채로 늘린다. 저소득 장애인 가정의 집 수리를 돕는 ‘집수리 지원사업’도 확대해 문턱 제거, 경사로 설치 등 비용을 가구당 최대 350만 원까지 지원하고, 지원 대상을 현재 1700가구에서 2030년 4000가구로 확대할 예정이다.
송진호 기자 jino@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