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0월 말 경북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숙박 요금이 폭등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이번 회의는 보문단지 국제회의복합지구에서 열리며, 21개 회원국 정상과 경제인 등 2만 명 이상이 찾을 예정이다.
■ 모텔도 10만 원 넘어…경주 숙소 바가지 논란
가을 관광 성수기와 국제행사가 겹치면서 숙박 수요가 폭증했다. 온라인 예약 플랫폼에 따르면 경주의 한 4성급 호텔은 평소 13만 원대에서 행사 주간 1박 요금이 47만 원까지 뛰었다. 또 다른 리조트는 9만 원대에서 27만 원으로, 시내 숙소도 12만 원에서 30만 원으로 각각 세 배 안팎 인상됐다.
중저가 숙소도 예외가 아니다. 평일 5만~6만 원이던 시내 모텔은 APEC 기간 9만~11만 원까지 올랐다. 관광객들 사이에서는 “차라리 서울이나 부산에 묵고 당일치기로 다녀오겠다”는 불만까지 나온다.
■ APEC 특수라지만, 도 넘은 인상?
업주들은 불가피한 인상이라는 입장이지만 소비자 불만은 거세다. 온라인에는 “눈앞의 이익만 좇아 경주 관광 이미지를 망치고 있다”는 비판과 “한 번의 바가지가 장기적인 손해로 돌아올 것”이라는 우려가 이어지고 있다. ■ 경주시, 숙박업계에 ‘합리적 요금’ 호소
경주시는 지역 이미지 훼손을 우려하며 숙박업계에 요금 자제를 당부하고 나섰다. 주낙영 시장은 16일 서한문을 통해 “APEC 정상회의는 경주가 세계적인 도시로 발돋움할 기회”라며 “합리적이고 투명한 가격 정책으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를 만들어 달라”고 호소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