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부처 해킹 시도 작년 16만건, 1년새 두배로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9월 19일 03시 00분


코멘트

정보유출-시스템 권한 획득 노려
公기관 방어 능력은 되레 떨어져

최근 국내 통신사와 카드사 등 민간 기업에서 해킹으로 인한 정보 유출 사고가 잇따르는 가운데, 지난해 정부 부처를 대상으로 한 해킹 시도도 16만 건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 전산망 전반에서 사이버 공격 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8일 행정안전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중앙부처를 겨냥한 해킹 시도는 16만1208건으로 집계됐다. 하루 평균 441건꼴로, 전년(8만554건·하루 평균 221건)의 2배로 증가하며 역대 최다치를 기록했다.

연도별로는 2016년 5만3550건에서 2017년 6만2532건, 2018년 9만4980건, 2019년 12만4754건으로 꾸준히 늘었다. 이후 2020년 10만8810건, 2021년 10만1123건, 2022년 11만2413건 등 10만 건대에서 정체됐으나 지난해 다시 급증했다.

광역 지자체 대상 해킹 시도 역시 1만5489건으로 전년 대비 14.6% 증가해 2019년 이후 최대치를 나타냈다. 해킹 시도 유형별로는 ‘정보 유출’이 5만1711건(32%)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시스템 권한 획득’(4만562건·25%), ‘정보 수집’(3만1958건·20%), ‘홈페이지 변조’(1만6633건·10%) 순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공공기관의 방어 역량은 여전히 취약한 것으로 평가됐다. 국가정보원이 올해 87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이버 보안 실태평가’ 결과 서버 접근 통제가 미흡한 기관은 62곳으로 전년(44곳) 대비 약 40% 늘었다. 보안 전담 인력이 부족한 기관도 16곳에서 18곳으로 증가해 방어 체계 보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해킹#정보유출#사이버 공격#사이버 보안#국가정보원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