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소비, 한국인 28세부터 흑자인생

  • 동아일보

코멘트

45세때 ‘노동 소득’ 정점 찍어
61세부터 다시 적자로 돌아서

한국인의 생애 주기에서 ‘노동 소득’은 45세 때 정점을 찍고, 소비보다 소득이 많은 ‘흑자 구간’은 28세부터 33년간 이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은퇴 후에도 일을 하는 고령층이 늘어나면서 노동 소득이 고점을 찍는 나이와 흑자였던 소비·소득 구조가 적자로 돌아서는 연령대는 갈수록 늦춰지는 추세다.

25일 통계청은 이런 내용의 ‘2023년 국민이전계정’을 발표했다. 국민이전계정은 연령에 따른 소비와 노동소득의 관계를 분석해 세대 간 경제적 자원의 흐름을 파악하는 통계다.

한국인의 생애주기별로 소비·소득 구조를 살펴보면 27세까지는 소비가 노동 소득보다 많아 적자가 이어진다. 1인당 적자 규모는 16세 때 평균 4418만 원으로 가장 컸다. 교육비 증가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28세부터는 소비·소득 구조가 흑자로 진입하고, 노동 소득은 45세에 연평균 4433만 원으로 정점을 찍는다. 61세부터는 소비가 소득을 추월해 다시 적자로 돌아서고, 적자 규모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커졌다. 노동 소득은 갈수록 줄어드는 반면 병원비 지출 등 보건 소비는 확대되는 영향이다.

연도별로 보면 2010년 이후 생애주기 흑자 진입 시기는 27∼28세를 벗어나지 않고 일정했다. 하지만 노동 소득이 가장 높아지는 시기는 2010년 38세에서 2023년 45세로 높아졌다. 취업난이 심화하면서 대학 졸업 후 첫 취업 시기가 늦춰진 결과로 해석된다. 흑자였던 소비·소득 구조가 적자로 재진입하는 시점은 2010년 56세에서 2023년 61세로 늦춰졌다. 은퇴 후 재취업에 나서거나 공공일자리를 얻는 등 고령층 중에서도 일을 지속하는 인구가 많아진 결과로 풀이된다.

#한국인#생애주기#노동소득#소비구조#흑자구간#국민이전계정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