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26일 오후 8시 20분경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불이 나 소방당국이 진화 작업을 하고 있다. 불은 5층 전산실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정부 전산자원을 통합 관리하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정부 온라인 서비스 70개가 마비됐다. 2025.9.27/뉴스1
행정안전부는 27일 ‘행정정보시스템 재난 위기관리 표준매뉴얼’에 따라 위기경보수준을 ‘경계’에서 ‘심각’으로 격상하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한다고 밝혔다. 중대본 공식명칭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다.
행안부는 이날 윤호중 장관 주재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발생한 행정정보시스템 장애 대응 상황판단회의를 개최했다. 현재 장애로 인해 다수 행정서비스 이용이 제한되고 있어 접근성이 높은 민간 포털 네이버 공지를 통해 국민 행동요령을 안내했다.
먼저 대면 민원처리의 경우 행정기관을 방문하기 전 해당 서비스 가능 여부를 전화로 확인하고, 현장에서도 지연이나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교통민원24 등 일부 서비스는 대체 사이트를 통해 이용이 가능하다. 행안부는 아울러 TV, 라디오, 긴급재난문자, 행정기관 공지 등을 통해 최신 상황 확인을 부탁했다
(네이버 공지 갈무리)/뉴스1
(다음 공지 갈무리)/뉴스1각 행정기관에서는 기관의 업무연속성 계획에 근거하여 전산업무가 불가능한 경우에도 수기접수 및 처리, 대체절차 안내, 처리기한 연장, 소급적용 등을 통해 국민에게 불이익이 생기지 않도록 했다.
윤호중 장관은 “정부는 이번 사태의 조속한 복구를 위해 모든 역량을 총동원하고 있으며,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앞서 전날 오후 8시 20분경 대전 유성구에 있는 국정자원 5층 전산실에서 리튬배터리 화재가 발생했다. 이번 화재는 전산실 내 배터리 교체를 위한 사전작업으로 전원을 내렸다가 배터리가 폭발하면서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관리하는 정보 시스템은 총 647종으로, 현재 사용이 마비된 시스템은 70여개로 파악되고 있다. 소방당국은 이날 오전 10시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현장 브리핑을 열고 자세한 경위를 설명할 예정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