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으로 떠난 손님들…“추석 판매량 예년보다 줄어”
소비쿠폰 배포에 ‘반짝’ 희망도…“확실히 효과 있어”
지난 25일 서울 성수동 뚝도시장의 모습 시장 골목길에 손님이 한명도 보이지 않는다. 2025.09.27/뉴스1
“요즘 시장보다도 온라인몰 같은 걸 많이 쓰니까 사람이 정말 없어요.” 일 년 중 가장 큰 ‘대목’인 추석을 일주일 남짓 앞둔 26일 오후 서울 성동구 성수동 뚝도시장의 분위기는 조용했다. 건어물 가게, 생선가게, 야채가게, 계란 가게가 줄지어 있었지만 골목마다 손님은 한둘뿐이었다. 그나마 가게 10곳 중 3~4곳은 문이 굳게 닫혀 있었다.
시장에서 28년간 떡집을 해온 안민경 씨는 전통시장의 경기가 말이 아니라고 했다. 안 씨의 떡집 건너편 야채가게도 영업을 하지 않고 있었다.
추석을 앞둔 상황도 예년과 달랐다. “작년에는 송편 주문이 스물세 집이었거든요. 올해는 네 집 들어왔어요. 2022년에는 서른다섯 집이었고. 이번에는 열몇 집 들어오지 않을까 해요” 장부를 뒤적이며 안 씨가 내뱉은 수치들에 답답함이 묻어났다.
안 씨는 가뜩이나 사람들이 떡을 잘 사 먹지 않는 문화가 되면서 물건은 팔리지도 않는데 쌀값 등 재룟값은 천정부지로 오르고 있다며 장사가 쉽지 않다고 했다.
서울 관악구 신사시장에서 떡집을 하는 신윤철 씨(50)도 사정은 비슷했다. 손님에게 떡을 건네던 신 씨는 아직은 시장에 명절 훈풍이 불기에는 이른 것 같다고 했다. 그는 요즘의 매출 수준이 “거의 바닥”이라고 말했다.
인근 정육점 사장의 평가는 더 비관적이었다. 판매할 물품을 손보며 “분위기는 안 좋아요. 딱히 기대도 없어요”라고 잘라 말했다. 그는 “지난해 추석보다 물건을 70%만 받았다”며 “그만큼 이제는 기대가 없다”고 전했다.
26일 오후 서울 관악구 신사시장 모습 2025.09.27/뉴스1
다행히 상인들은 나라가 다시 풀어낸 ‘소비쿠폰’에 손님들의 주머니 사정이 조금은 나아진 것 같다고 입을 모았다.
뚝도시장에서 한복집인 ‘영희한복’을 운영하는 유영희 씨(64·여)는 1차 소비쿠폰이 나왔을 당시 “확실한 효과가 있었다”며 당시에 붙여놓은 ‘소비쿠폰 가능 매장’ 스티커를 떼지 않고 있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