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배터리, 사용기한 1년 지나 ‘교체 권고’ 받았었다

  • 뉴시스(신문)

코멘트

국정자원 “지난해 6월 정상 판정 받으면서 권고”

28일 화재가 완진된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외부 침수조에 냉각작업 중인 리튬이온 배터리 위로 빗방울이 떨어지고 있다. 2025.09.28. [대전=뉴시스]
28일 화재가 완진된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외부 침수조에 냉각작업 중인 리튬이온 배터리 위로 빗방울이 떨어지고 있다. 2025.09.28. [대전=뉴시스]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원인으로 지목된 리튬 이온 배터리가 사용 기한을 넘겨 지난해 6월 교체 권고를 받았지만, 별다른 조치 없이 계속 사용된 것으로 확인됐다.

국정자원은 29일 “발화된 배터리는 지난해와 올해 정기검사 결과에서 모두 정상 판정을 받았다”며 “다만 지난해 6월 정상 판정을 받으면서 교체 권고를 받은 것은 맞다”고 밝혔다.

교체 사유에 대해서는 “(사용 연한인) 10년이 지났기 때문”이라면서도 “정기검사 결과에서 이상이 없어 지속 사용했다”고 설명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이번에 불이 난 배터리는 LG에너지솔루션이 2014년 생산해 판매·관리 업체인 LG CNS에 납품했다. 사용 기한(10년)이 이미 1년을 넘겨 LG CNS가 교체를 권고했으나, 그대로 사용했다는 얘기다.

국정자원은 또 배터리 화재와 관련해 “배터리를 교체한 게 아니라 정보 시스템과의 이격을 위해 지하로 이동 작업 중에 발생했다”고 부연했다.

일각에서는 작업 당시 비전문 업체가 선정되고, 아르바이트생이 다수 투입됐다는 의혹도 나온다. 작업자 실수 가능성도 제기된다. 경찰은 현재 화재 원인 규명을 위해 본격적인 수사를 진행 중이다.

지난 26일 국정자원 대전 본원 5층 전산실에서 작업자 13명이 리튬 배터리를 옮기는 작업을 진행하던 중 배터리 1개에서 불꽃이 튀며 화재가 발생했다.

이 불로 정부 행정 시스템 647개의 가동이 중단됐으며, 이날 오전 8시30분 현재 우체국 금융, 모바일 신분증, 정부24 등 47개 서비스 복구가 완료됐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