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0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경제 유튜버 슈카월드가 극우 성향 온라인 커뮤니티 ‘일간베스트’에서 제작된 합성사진을 사용해 구설에 올랐다.
슈카월드는 지난 28일 유튜브 생방송에서 미국의 국제기구 탈퇴 움직임을 설명하던 중 세계보건기구(WHO) 로고에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이미지가 합성된 사진을 송출했다.
(WHO 공식 로고, 일간베스트 합성 로고. WHO 공식 홈페이지, 온라인 커뮤니티 갈무리)
해당 이미지에는 WHO 공식 문양 대신 노 전 대통령 얼굴, 노 전 대통령과 반려견 사진, 홍어 그림 등이 배치돼 있었다. 이는 과거 일베에서 노무현 대통령을 조롱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든 이미지였다.
논란이 커커지자 슈카월드는 해당 영상을 모두 삭제했지만, 공식적인 해명은 아직 내놓지 않았다.
일베 합성물 사용 논란은 슈카가 처음은 아니다. 국내 방송사들도 과거 비슷한 논란을 겪었다. 2013년 MBC ‘기분 좋은 날’은 화가 밥 로스 화면 속에 노 전 대통령 합성사진을 내보내 물의를 빚었고, 같은 해 SBS ‘스포츠 뉴스’는 고연전 결과 보도 중 조작된 연세대로고 ‘ㅇㅂ(일베)’가 합성된 사진을 내보냈다. 또 2024년에도 SBS 유튜브 채널이 ‘부산대학교 맞춤법 검사기’ 로고에 일베가 삽입된 이미지를 사용해 비난을 받았다. 이들의 공통적인 해명은 “구글 검색으로 이미지를 가져는 과정에서 검증을 하지 못했다”는 것이었다.
(동해 표기 논란 이후 사과문을 발표한 슈카월드. 온라인 커뮤니티 갈무리)
한편 슈카는 지난 7월에도 ‘일본 대지진설’을 다루던 방송에서 동해를 ‘Sea of Japan’으로 표기한 지도를 사용해 정치색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당시 그는 “방송 직전 일본 측 지도로 교체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실수”라고 사과하며 대한적십자사에 독립운동가 후손 지원 성금 3000만 원을 기부했다.
두 달 만에 또다시 불거진 논란에 누리꾼들은 “동해 표기 문제 지난 지 얼마나 됐다고, 대체 잊을만하면 한 번씩 터지는 이유가 뭐냐”라며 비난을 쏟아내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