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복구 재생 사업 속도
국회서 ‘산불 구제 특별법’ 통과
안동 등 5개 지역 마을 복원 추진
스마트팜 중심 ‘공동영농’도 도입
지난달 29일 경북 안동시 도청 브리핑룸에서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산불 피해 복구 현황 및 혁신적 재창조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역대 최악의 재난으로 기록된 경북 북동부 산불 피해지역에 대한 복구가 본격 추진된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난달 29일 안동시 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국회 본회의에서 ‘경북·경남·울산 초대형 산불 피해 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이 통과됐다”며 “이에 따라 현재 실시 설계 중인 마을 기반 조성 사업을 비롯해 마을 단위 복구 재생 사업을 올해 하반기(7∼12월)부터 차례로 시작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올 3월 22일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은 건조한 날씨 속에 강한 바람을 타고 순식간에 안동과 청송, 영양, 영덕 등으로 확산했다. 주불 진화에 성공한 149시간 동안 산림 9만9289ha(헥타르)를 집어삼켰다. 산림청이 관련 집계를 시작한 1986년 이래 가장 피해가 컸다. 여기에 주택 3819동, 농기계 1만8265대, 농작물 2003ha 등 모두 1조505억 원에 이르는 막대한 재산 피해를 남겼다.
경북도는 현재 역대 최대 규모인 1조8310억 원의 복구지원비를 확보해 농·임·어업 소상공인 지원, 임시 주택 제공, 생계 및 주거지원비 지급 등 이재민에 대한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도는 이번 특별법 통과로 피해 지역을 단순한 복구가 아닌 지속 가능한 성장이 이뤄지도록 개발해 나갈 방침이다.
우선 마을 전체가 소실된 청송군 달기약수터와 영덕군 노물리 및 석리에서는 국토교통부의 특별 도시 재생 사업을 추진한다. 현재 계획 수립 용역이 진행 중인데 마을 단위 피해 복구와 기반시설 정비, 민간투자 유치를 통한 마을의 관광지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달기약수터에서는 피해·노후주택 정비 및 도로·상하수도 정비와 함께 약수터 관광단지 사업을 위한 테마파크, 힐링로드 조성 등이 이뤄질 전망이다. 노물리와 석리에는 심리치유트라우마센터가 들어서는 한편 방재시설 정비, 스마트 재난경보 체계 구축 등을 추진한다.
안동과 의성, 영덕 등 5개 지구에서는 국비 등 415억 원을 투입해 마을 단위 피해 복구와 공동체 복원 지원 등 사업을 추진한다. 경북도는 여기에 자체 재원을 투입해 피해지역 17개 마을에 대한 기반시설 복구에도 나설 예정이다.
농업이 주요 산업인 산불 피해 지자체에는 스마트팜을 중심으로 한 공동 영농 모델을 도입할 계획이다. 우선 의성군 단촌면에 내년부터 마늘과 콩 이모작이 가능한 공동 영농 모델을 도입한다. 기존의 마늘 개별 영농(13ha 기준)에 비해 약 2.2배가 넘는 4억5800만 원 규모의 수익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의성군 점곡면과 옥산면에도 스마트팜을 조성해 청년농업인 교육 및 임대용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경북도는 산불 피해를 본 5개 시군별 맞춤형 개발 사업도 추진한다. 공공 전담과 공공 주도 및 민간 참여, 민간 주도 등 3가지 방식으로 진행한다. 공공 전담 사업은 산불 피해 트라우마 극복, 산불 연구·예보, 산림 디지털 인프라 구축 등에 중점을 뒀다. 공공 주도 및 민간 참여 사업은 산악 레포츠 단비 및 스마트팜 조성 등이다.
이 도지사는 “산불 특별법 국회 통과로 복구를 위한 제도적 기반이 갖춰졌다. 피해 주민이 빨리 일상과 안정을 되찾고 피해지역이 혁신적 재창조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