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버스 노사 최종 조정회의가 열린 30일 경기 수원시 영통구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서 김기성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왼쪽)과 이순창 경기도중부지역버스노동조합 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2025.09.30. [수원=뉴시스]
경기도 전체 버스 노동자의 90%가량이 속한 경기도버스노조협의회가 1일 예고했던 파업을 철회했다. 사측과의 최종 조정회의에서 합의를 이뤄내면서다.
노조협의회는 전날 오후 4시부터 이날 오전 6시까지 경기지방노동위원회(지노위)에서 사용자 단체인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과 최종 조정회의를 갖고 임금 협약안에 합의했다.
이에 따라 노조협의회는 이날 첫 차 운행부터로 예고했던 전면 파업을 철회하고 정상 운행하기로 했다.
30일 경기 수원시 영통구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서 경기도 버스 노사 최종 조정회의가 열리고 있다. 2025.09.30. [수원=뉴시스] 노사는 이날 준공영제 노선은 임금 8.5% 인상, 민영제 노선은 월 40만 원 인상하는 것으로 합의했다.
또 2027년 1월 1일부터 민영제 노선도 준공영제의 임금 및 근무 형태와 동일하게 바꾸기로 경기도와의 임금협정서 노사정 합의를 이뤄냈다.
다만 단체협상에 참여한 50개 업체 중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에 속한 광역버스 업체 4곳(김포운수·선진버스·선진상운·파주여객)은 자체 임금정책으로 인해 임금 8.5% 인상을 할 수 없어 조정 중지가 선언됐다. 이들은 사측과 추가 협상 및 법적 공방을 통해 개선안을 요구하기로 했다.
이기천 노조협의회 의장은 “노조의 가장 큰 요구가 민영제 노선의 열악한 근무 환경을 철폐하는 것이었는데, 2027년부터 준공영제와 동일한 조건에서 일할 수 있게 된 것이 협상의 가장 큰 성과”라며 “공공 서비스에 걸맞도록 역할에 더욱 책임감을 갖고 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노조협의회에는 50개 업체 소속 1만여 대(인가 대수 기준)의 버스가 속해 있다. 소속 조합원 1만9000여 명은 경기지역 전체 버스 기사의 90%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