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오전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4일차 합동감식이 시작된 가운데, 화재현장이 보이고 있다. 2025.9.30/뉴스1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사건을 수사 중인 대전경찰청 전담수사팀이 “배터리 쪽에서 불꽃이 튀었다”는 목격자 진술을 확보했다.
경찰은 30일까지 국정자원 대전 본원 5층 전산실에서 진행된 비상전원장치(UPS) 리튬이온 배터리 분리 작업과 관련해 작업자와 업체 관계자 등 13명을 조사했다. 왼팔과 얼굴에 1도 화상을 입고 입원 중인 40대 작업자는 치료로 조사가 미뤄졌고, 국정자원 소속 공무원 조사는 아직 없다.
경찰은 전산실 폐쇄회로(CC)TV를 분석 중이다. 발화 지점을 직접 찍은 영상이 없어 주변 화면을 조합하고 흐릿한 장면은 보정하고 있다. 영상으로 파악된 현장 인원은 11명이다. 국정자원은 작업자 8명·공무원 1명·감리 1명·방제실 5명 등 총 15명이 있었다고 밝혔다.
작업 전 전원 차단 여부도 확인 중이다. 리튬 배터리는 전원을 끄지 않은 상태에서 충격·마찰이 가해지면 화재가 날 수 있다. 전산실 전체 전원과 배터리 전원의 분리 여부, 단계별 차단이 제대로 이뤄졌는지 살피고 있다. 작업자들은 “작업 전 배터리 전원을 내렸다”고 진술했다. 소방은 감전 우려로 최초 신고(26일 오후 8시 20분) 2시간 42분 뒤인 오후 11시 2분에야 불이 난 5층 7-1 전산실 전체 전력을 차단했다. 일부 작업자가 파견 형태였다는 진술과 관련해 고용 형태도 들여다보고 있다.
현장 감식은 나흘째 진행됐다. 폭발이 의심되는 배터리 6개는 안정화 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모두 의뢰했으며, 5층 발화 지점을 집중 조사하고 3D 스캐너 입체 촬영도 실시했다. 경찰 관계자는 “현장 감식은 계속 이어지며 전체를 면밀히 살피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