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KLPGA 대상 등 3관왕 차지
올 LPGA 톱10 ‘0’… 컷 탈락도 6번
내일 다우챔피언십서 반등 노려
비슷하게 힘든 과정 겪은 백규정… “낯선 환경-압박감 적응시간 필요”
백규정
“본인도 많이 당황스럽겠지만 적응에는 시간이 필요하다.”
2014년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투어 신인왕 출신으로 미국여자프로골프(LPGA)투어에선 고전했던 백규정(30)이 비슷한 과정을 겪고 있는 윤이나(22)에게 애정 어린 조언을 건넸다.
올해 미국여자프로골프(LPGA)투어에 진출한 윤이나는 쇼트 게임에서 어려움을 겪으며 좀처럼 좋은 성적을 내지 못하고 있다. 사진은 4월 열린 LPGA투어 T-모바일 매치플레이에서 벙커샷을 하는 윤이나. 라스베이거스=AP 뉴시스윤이나는 지난해 KLPGA투어에서 대상, 상금왕, 최저타수상 등 3관왕을 차지하며 화려하게 미국 무대에 입성했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올 시즌 13개 대회에서 단 한 차례도 ‘톱10’에 들지 못했고, 컷 탈락도 6번 당했다. 이 때문에 한국에서 최고의 시즌을 보낸 이듬해 LPGA투어에서 별다른 성적을 올리지 못한 백규정의 전철을 밟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2014년 KLPGA투어 3승과 함께 LPGA투어 KEB하나은행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던 백규정은 2015년부터 두 시즌 동안 부진을 거듭한 끝에 2016년 하반기에 국내로 돌아왔다.
백규정은 24일 본보와의 통화에서 “‘너는 당연히 잘해야 한다’는 말에 부담이 컸다. 생각보다 결과가 좋지 않았을 때 화가 나기보다는 많이 당황했다”며 “세계 최고의 선수들이 경쟁하는 LPGA투어는 4라운드 중 하루만 부진해도 톱10에 들기가 쉽지 않다. 윤이나에게는 이런 압박감에 적응할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환경 역시 윤이나가 넘어야 할 과제다. LPGA투어는 미국 동부와 서부를 넘나들고 유럽과 동남아에서도 대회를 연다. 백규정은 “짧은 시간에 다양한 잔디와 코스에 적응하는 건 쉽지 않다. 미국은 코스 세팅 자체가 한국보다 훨씬 어렵다”고 했다. 특히 그린 주변의 난도 차이가 상당하다. 백규정은 “미국은 그린 주변에 언덕이 많고, 말도 안 되게 높은 벙커도 있다”며 “미국에서는 그린 적중률이 떨어지면 더블 보기, 트리플 보기가 쉽게 나온다”고 말했다. 실제로 윤이나는 지난해 KLPGA투어에서 78.4%의 그린적중률을 보였지만, 올 시즌 미국에선 69%에 그치고 있다. 평균 퍼팅 역시 지난해 29.9개에서 올해 미국 무대에선 30.1개로 늘었다.
윤이나는 26일부터 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 컨트리클럽(파72)에서 열리는 LPGA투어 다우 챔피언십에서 박성현(32)과 팀을 이뤄 반등을 노린다. 이 대회는 1, 3라운드는 포섬(두 명의 선수가 공 하나를 번갈아 치는 방식)이고 2, 4라운드는 포볼(각자의 공으로 경기한 뒤 더 좋은 점수를 팀 성적으로 계산하는 방식)으로 치러진다. 디펜딩 챔피언 지노 티띠꾼(태국)-인뤄닝(중국) 조 등 140명이 참가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