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현지 시간) 확장 재개관한 미국 매사추세츠주 피보디에식스박물관 한국실 전경. 박물관이 소장한 한국의 19세기 의복, 악기 등부터 오늘날 현대미술 작품까지 폭넓게 소개한다.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현존하는 미국 최고(最古) 박물관인 매사추세츠주 피보디에식스박물관에 ‘서유견문’으로 유명한 조선 후기 정치가 유길준(1856∼1914)의 이름을 딴 한국 전시실이 확장 재개관했다.
피보디에식스박물관은 “17일(현지 시간)부터 ‘유길준 한국실(Yu Kil-Chun Gallery of Korean Art and Culture)’이 재개관 공사를 마치고 관람객을 맞았다”고 19일 밝혔다. 1799년 개관한 피보디에식스는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박물관이자, 미국에서 한국 미술품을 체계적으로 수집한 최초의 박물관이다. 한국 관련 소장품만 1800점이 넘는다.
박물관은 2003년 처음으로 한국 전시실을 열었다가 2019년 문을 닫고 개편 작업을 거쳐 약 6년 만에 재개관했다. 기존에 일본 유물 등이 전시돼 있던 아시아관의 일부 공간을 포함시켰다. 232m² 규모로 커진 새 한국실에서 19세기 조선 개화기 유물 등 엄선된 소장품 100여 점을 선보인다.
유길준 한국실에서 주축을 이루는 건 19세기 미국 사절단 ‘보빙사(報聘使)’의 일원이자 ‘한국 최초의 유학생’으로 불렸던 유길준과 박물관의 인연이 담긴 유물들이다. 한국실 전담 김지연 큐레이터는 “1883년 미국에 간 유길준은 당시 박물관장이 수집한 한국 유물에 대한 자문 역할을 했다”며 “박물관에 기증했던 옷과 소장품, 관장에게 쓴 편지 등도 소개된다”고 설명했다.
박물관은 1896년부터 약 4년간 주미 공사를 지냈던 이범진(1852∼1911)의 가족 사진도 처음으로 공개했다. 사진에는 이범진의 부인과 장남 이기종, 훗날 1907년 헤이그 특사로 활약했던 차남 이위종의 모습이 담겼다. 대한제국 마지막 미국 공사로서 이범진과 교류했던 에드윈 모건(1865∼1934)의 유족도 소장하고 있던 유물을 박물관에 기증했다.
19세기 말 동서양 문화가 어우러진 근대 공예품도 관람객을 만난다. 책 ‘조선, 고요한 아침의 나라’를 쓴 퍼시벌 로웰(1855∼1916)이 선물 받은 모자가 대표적이다. 전통 재료인 말총으로 만든 서양식 신사 모자다. 한글로 ‘폴링 부인’이라고 쓰인 육각 은제함, 1893년 미 시카고박람회에 출품된 의자 등도 전시품에 포함됐다.
피보디에식스박물관의 한국실 개편은 국립중앙박물관이 지원했다. 전담 큐레이터를 중앙박물관 예산으로 채용했다. 린다 로스코 하티건 피보디에식스박물관장은 “김 박사 덕에 한국 관련 소장품의 연구 및 확충이 원활히 이뤄져 기쁘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