겸재의 시선, 희원의 시간…초여름 정원에서 진경산수를 거닐다 [김선미의 시크릿가든]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6월 29일 07시 00분


코멘트
초여름 풀향기 가득한 경기 용인시 호암미술관의 정원인 ‘희원’. 용인=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진작부터 보고 싶었지만 최근에야 겨우 시간을 낼 수 있었습니다. 경기 용인시 호암미술관에서 4월부터 열려온 ‘겸재 정선’ 전시 이야기입니다. 호암미술관과 간송미술관이 손잡고 선보이는 최초이자 최대 규모의 특별전이 오늘 막을 내린다니 아쉬운 마음이 큽니다. 겸재 탄생 350주년인 내년에 대구간송미술관으로 자리를 옮겨 다시 열린다니 또 보고 싶습니다.

실은 이번 전시가 시작될 무렵 온라인에서 도록부터 샀습니다. 일이 몰려 전시장에 갈 엄두를 못 냈기에 혹여 전시를 못 볼 경우를 대비한 마음의 보험이었다고나 할까요. 뒤늦게나마 귀한 전시를 볼 수 있었던 건 축복입니다.

겸재 정선이 그린 국보 ‘금강전도’.

미술관 1층에서 겸재 정선(1676~1759)이 그린 금강산 구경을 하고 2층에 올라 옛 서울을 그림으로 여행하는 내내 놀랍고 흐뭇했습니다. 중장년층은 물론이고 MZ세대까지 그림 앞에서 오래 머물며 진지하게 감상하더라고요. 일제 강점기 우리의 문화유산이 일본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았던 간송 전형필 선생(1906~1962)과 삼성 창업주인 호암 이병철 회장(1910~1987)이 하늘나라에서 얼마나 기뻐할까 짐작해 봅니다. 둘의 ‘문화보국(文化保國)’ 정신이 깃든 이 전시에는 15만 명이 다녀갔다고 합니다.

겸재의 진경산수화는 전란의 혼란이 수습되고 사회가 안정을 찾아가던 18세기 조선의 여행문화의 흐름과 맞물려 탄생했습니다. 특히 조선인들이 가장 가고 싶어했던 곳은 불교 성지이자 동아시아 명산인 금강산이었다죠. 당시 경제적 부담 등 이런저런 사정으로 여행을 떠나지 못했던 이들은 겸재가 사실적으로 그린 금강산 그림을 집에서 누워서 보며 대리만족했다고 합니다. 그 시선이 머문 자리엔 쉼과 위로가 깃들었을 겁니다. 그래서 문화는 곧 복지입니다.

장 미셸 오토니엘의 작품 ‘황금 장미’와 ‘황금 목걸이’가 설치돼 있는 관음정 앞 연못에 노랑어리연꽃이 가득 피었다. 용인=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뒤늦은 관람이어서 오히려 뜻밖의 기쁨이 있었습니다. 한국 정원의 우아함을 대표하는 호암미술관의 정원, 즉 희원(熙園)의 초여름 풍경을 마주했거든요. 지금 중앙 연못에는 분홍 연꽃이 막 피어나고 있어요. 프랑스 예술가 장 미셸 오토니엘의 ‘황금 장미’와 ‘황금 목걸이’ 작품이 있는 관음정 앞 연못은 노랑어리연꽃이 수면을 덮어 소박하면서도 찬란합니다. ‘검이불루 화이불치(儉而不陋 華而不侈·검소하되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되 사치스럽지 않다)’라는 말이 절로 떠오르네요.


초롱꽃, 까치수염, 애기기린초처럼 잔잔한 식물들이 피어난 초여름의 희원은 초승달처럼 은은한 매력을 풍깁니다. 작약처럼 화려한 꽃은 이미 피고 졌지만 풀꽃들이 조화를 이루며 저마다의 존재감을 빛내는 지금의 희원에서는 모두가 주연이면서 동시에 아름다운 조연입니다.

나비가 내려앉은 까치수염. 용인=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그래서일까요. 이번 전시에 나온 겸재의 초충도(草蟲圖)와 화훼도(花卉圖)에 유독 마음이 끌렸습니다. 금강산의 수많은 봉우리를 한눈에 담은 국보 ‘금강전도’나 시원한 폭포수가 시선을 사로잡는 ‘박생연’ 같은 작품들에 비하면 소소한데도 말예요.

이를테면 ‘자위부과도’(간송미술문화재단)는 오이밭에서 고슴도치가 오이를 따 짊어지고 도망가는 모습을 화폭에 담았는데 귀여우면서도 어쩐지 아등바등 살아가는 우리의 자화상 같기도 합니다. ‘요화하마도’(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속 여뀌 아래 두 눈을 동그랗게 뜬 개구리는 무엇을 바라보는 걸까요. 우리도 그런 호기심으로 세상을 보고 있을까요. 그림 속에서 풀벌레 소리와 풀 향기가 스며 나오는 듯합니다.

겸재 정선이 그린 ‘자위부과도’. 간송미술문화재단

겸재 전시는 오늘 끝나지만 희원은 언제든 갈 수 있는 대한민국 대표 정원입니다. 호암미술관 개관 15주년을 기념해 1997년 문을 연 희원은 ‘밝고 환한 정원’이란 뜻입니다. 6만6000㎡ 대지 위에 정자와 물이 어우러지고 꽃나무와 석물이 조화를 이루는 거대한 작품입니다. 한국의 1세대 조경가 정영선이 전통정원의 요소를 창의적으로 재현한 이 공간은 겸재의 붓끝과 닮았습니다. 겸재가 금강산의 절경을 현실에 끌어당겨 진경산수화라는 독창적 장르를 구축했듯, 희원 역시 현실의 땅에 전통정원의 이상을 구현한 풍경 회화입니다.

우리 들꽃과 석물이 어우러진 희원. 용인=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무엇보다 겸재의 작품을 지켜내고 정영선이라는 조경가에게 기회를 준 ‘기업의 힘’을 새삼 돌아보게 됩니다. 예술과 자연을 보전하고 누구에게나 열린 공간으로 내어주는 것, 그것이야말로 시대를 초월한 기업의 품격 있는 사회 환원 아닐까요. 겸재가 그린 자연과 정영선이 수놓은 정원은 모두 한 시대를 넘어선 풍경입니다. 풀향기 나는 싱그런 초여름의 희원을 꼭 만나보세요.

#겸재 정선#초여름#정원#풍경#겸재 전시#희원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