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문화
공재 윤두서 ‘세마도’ 진본 321년 만에 공개한다
뉴시스(신문)
입력
2025-08-11 09:59
2025년 8월 11일 09시 59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코멘트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해남 고산윤선도박물관서
8월30일부터 10월31일까지
ⓒ뉴시스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사무국은 제4회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에서 조선 후기 대표 수묵화가 공재 윤두서의 세마도 진본을 321년 만에 최초로 일반인에게 전면 전시한다고 11일 밝혔다.
세마도 진본은 이달 30일부터 10월31일까지 해남읍 연동리 고산윤선도박물관에서 일반에 공개된다.
세마도는 제작 연대가 기록된 기년작(記年作)이자 말 그림 중 가장 이른 시기의 작품이다.
왼쪽 상단에 갑신유월일제(甲申六月日製)라고 쓰여 37세(1704)에 제작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말 그림의 초기 기량을 가늠할 기준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말을 매어두고 나무 밑에서 휴식을 취하는 두 명의 관리와 강에서 말을 목욕시키는 마부를 소재로 한 그림은 공재의 말 그림 중 규모가 가장 크다.
오른쪽 상단에는 공재지기(恭齋之記)라는 주문인(朱文印)이 찍혀 있으며, 왼쪽 관서 밑에는 청구자(靑丘子)와 효언(孝彦·윤두서의 자)이 날인돼 있다.
하단부 중앙에 위치한 바위 표현은 조선 중기 절파화풍을 계승했지만 소재와 필치는 중기 화가들이 그린 말 그림과 전혀 다른 중국풍의 세마도 유형이다.
인물은 정밀하고 자세하게 표현됐다. 강가에서 쉬고 있는 관리들, 나무에 매어진 말들, 강에서 마부가 말을 씻는 장면 등 세 그룹으로 떨어진 요소가 한 화면에서 자연스럽게 통합돼 있다.
이른 시기에 시도한 말 그림임에도 불구하고 말의 근골이 잘 표현됐으며, 볼 뼈가 주머니처럼 볼록 뛰어나온 모양은 윤두서 말 그림의 전형적 특징을 보여준다.
세마도는 그동안 학계 논문이나 도록에서 일부 이미지로만 소개된 바 있다. 보존 상태조차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던 수묵 회화다.
윤재갑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총감독은 “이번 전시를 통해 수묵비엔날레가 단순한 작품 전시를 넘어 수묵 예술의 철학과 문화적 깊이를 재조명하고 지역민과 예술인, 국내외 관람객이 함께하는 문화 교류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무안=뉴시스]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미국에 생긴 롯데리아 1호점…“3시간 기다렸다” 끝없이 줄서
30cm 깊이 물놀이장 배수구에 6살 발 빨려들어 익사…母 속수무책
‘원조 한류스타’ 안재욱, 한·베트남 국빈 만찬장서 포착
창 닫기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