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리모델링-인테리어 트렌드는 ‘친-스-맞’

  • 동아일보

코멘트

[친환경] 대나무-코르크 ‘건강한 자재’ 확대
[스마트] 냉난방-보안 연계한 IoT 고급화
[맞춤형] 실용적인 ‘다기능-모듈’ 가구 인기

게티이미지
게티이미지
건설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건설사는 물론 유관·배후 업계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신축 및 재건축이 사실상 중단된 가운데 특히 지방 건설사들은 수요 절벽과 미분양 적체로 위기에 몰려 있다.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자 새집이나 큰 집으로 옮기길 원하던 수요자들이 리모델링이나 인테리어로 눈을 돌리고 있다. 살던 집을 내놔도 팔릴 기미조차 없으니 이사를 포기하고 아예 싹 뜯어고쳐 쾌적하게 살자는 것이다. 인테리어 업계도 이런 수요를 감안해 B2C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

2025년 리모델링 및 인테리어 시장은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친환경·스마트·맞춤형 트렌드가 강화되고 있다. 친환경 소재 및 에너지 효율을 높인 제품이 시장을 주도하고 실용적인 다기능·모듈형 가구가 인기를 끌고 있다. 각 사 제공
2025년 리모델링 및 인테리어 시장은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친환경·스마트·맞춤형 트렌드가 강화되고 있다. 친환경 소재 및 에너지 효율을 높인 제품이 시장을 주도하고 실용적인 다기능·모듈형 가구가 인기를 끌고 있다. 각 사 제공
과거에는 집을 단장할 때 인테리어, 가구 회사에서 내놓은 제품을 고르거나 동네 업자가 추천하는 리모델링 디자인대로 따르는 경우가 많았다. 최근에는 소비자가 각자의 취향과 개성에 따라 커스터마이징을 요구하는 추세가 뚜렷하다.

2025년 리모델링 및 인테리어 시장은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친환경·스마트·맞춤형 트렌드가 강화되고 있다.

첫째, 친환경 소재 및 에너지 효율을 높인 제품이 시장을 주도한다. 대나무, 코르크, 재생 목재 등 건강과 환경에 신경을 쓴 자재 활용이 확대되고 있으며 극단적인 기후변화 지속에 따라 단열 성능을 대폭 강화한 창호 제품의 수요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2025년 리모델링 및 인테리어 시장은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친환경·스마트·맞춤형 트렌드가 강화되고 있다. 친환경 소재 및 에너지 효율을 높인 제품이 시장을 주도하고 실용적인 다기능·모듈형 가구가 인기를 끌고 있다. 각 사 제공
2025년 리모델링 및 인테리어 시장은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친환경·스마트·맞춤형 트렌드가 강화되고 있다. 친환경 소재 및 에너지 효율을 높인 제품이 시장을 주도하고 실용적인 다기능·모듈형 가구가 인기를 끌고 있다. 각 사 제공
둘째, 1∼2인 가구 증가에 따라 중소형 아파트 비중이 늘어나며 미니멀하면서도 실용적인 다기능·모듈형 가구가 인기를 끌고 있다. 또한 수요자들의 개성과 가치 소비를 반영한 조립형·모듈러·커스터마이징 인테리어가 보편화하고 있다.

셋째, 집 자체가 커다란 전자제품처럼 작동하는 스마트홈 시대를 맞아 조명, 냉난방, 보안 등을 연계한 IoT 시스템이 고급화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또 인테리어 설계 및 시공에 AI(인공지능), VR(가상현실), AR(증강현실) 기술이 적용된다. 집 평면도만 입력해도 3D 가상현실이 나타나 가구와 가전제품을 자유롭게 배치해가며 인테리어를 구상할 수 있다.

과거 산업화 시대의 집은 일터에서 돌아와 잠시 쉬는 공간이었다. 코로나 팬데믹을 지나며 ‘홈코노미(집+이코노미)’라는 말이 등장했듯이 이제 집은 단순한 주거 공간을 넘어 업무, 자기 계발, 문화, 레저 활동을 즐기는 공간으로 확장되고 있다. 눈높이가 높아진 소비자의 다양한 홈코노미 취향과 욕구를 충족시킬 인테리어 업계의 패러다임 전환이 주목된다.

#즐거운나의집#인테리어#홈#리모델링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