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세기 몽골 항전 의지 담긴 ‘고려 오백나한도’, 보물 된다

  • 뉴스1

코멘트

“예술성·종교적 감성 담겨… 고려시대 불화 연구에 중요”
‘세종 비암사 소조아미타여래좌상’ 등도 보물 지정 예고

‘고려 오백나한도’의 앞면(국가유산청 제공)
‘고려 오백나한도’의 앞면(국가유산청 제공)
몽골의 침입 속 국난 극복을 염원하며 그려진 ‘고려 오백나한도’가 보물로 지정된다. 오백나한도는 부처의 제자인 나한 500명의 모습을 그린 그림을 뜻한다.

국가유산청은 불교의 힘을 빌려 몽골의 침입이 끝나기를 기원하며 제작된 ‘고려 오백나한도’를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12일 밝혔다.

‘고려 오백나한도’는 13세기 몽골의 고려 침입 시기에 국난 극복을 염원하며 일괄 제작된 오백나한도 500폭 가운데 한 폭이다. 2016년 보물로 지정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려 오백나한도와 함께 제작됐다. 이번 지정 예고 대상은 제329원상주존자를 표현한 것이다.

이 작품은 한 폭에 한 존자(尊者)만을 담은 형식을 취했으며, 존자가 너른 바위에 걸터앉아 화면 상단 왼쪽에 있는 용을 올려다보고 있는 모습을 묘사했다.

세종 비암사 소조아미타여래좌상(국가유산청 제공)
세종 비암사 소조아미타여래좌상(국가유산청 제공)
존자의 얼굴과 자세에서 느껴지는 강인함과 역동감, 능숙한 필선, 자유롭고 다양한 농담 표현 등에서 뛰어난 화격을 보여준다. 화면 상단 좌우의 화제를 통해 존명을 알 수 있으며, 하단 중앙의 화기에는 제작 배경과 연대(1235년), 발원자(김희인), 시주자(이혁첨) 등이 구체적으로 기록돼 있어 고려시대 불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이 작품은 고려 불화의 특징인 품격 높은 예술성과 신비로운 종교적 감성을 담고 있다”며 “남아 있는 수가 절대적으로 적은 고려 불화 중 조성 시기를 명확히 알 수 있는 작품이라는 점에서 미술사적으로 가치가 있다”고 설명했다.

국가유산청은 ‘세종 비암사 소조아미타여래좌상’, ‘유항선생시집’, ‘휴대용 앙부일구’도 각각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국가유산청은 이번에 지정 예고한 ‘고려 오백나한도’ 및 ‘세종 비암사 소조아미타여래좌상’ 등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한 후, 문화유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각각 지정할 예정이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