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와의 사별-암투병 “덜 아픈 지금에 감사”…시산문집 ‘사랑하는 당신에게’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9월 29일 11시 30분


코멘트
갑작스러운 사고로 아내가 세상을 떠났다. 유품을 정리하다 산티아고 순례길 코스를 상세하게 적은 메모를 발견했다. 독실한 천주교 신자로, 걷는 걸 무척 좋아한 아내가 산티아고 순례길 걷기를 소망한 걸 뒤늦게 알게 된 것. 홀로 산티아고 순례길을 걷기로 마음먹었다.

총 156.5㎞인 서울둘레길을 걷고 퍼스널 트레이닝(PT)도 받으며 준비했다. 한데 출발 두 달 전인 지난해 7월 신우암 3기 진단을 받았다. 절망감에 미칠 것 같았다. 고통에 몸부림치며 기도하다 깨달았다. 데려가시든, 고쳐 다시 쓰시든 신의 뜻에 맡기겠다고.

강상현 연세대 언론홍보영상학부 명예교수(69)가 삶의 고비 고비를 겪으며 성찰한 바를 담은 시산문집 ‘사랑하는 당신에게: 함께 걷는 길 위에서’(요세미티)를 24일 출간했다. 시와 산문을 같은 제목으로 각각 나란히 써서 엮었다.

시산문집 ‘사랑하는 당신에게’
시산문집 ‘사랑하는 당신에게’
저자는 늘 밝고 유쾌하며 다른 이들을 돕길 좋아한 아내가 ‘인생의 가장 큰 선물’이라고 말한다. 가난한 집 5형제 중 맏이인 스스로를 ‘나무꾼’이라 부르고, 자신과 결혼한 아내는 ‘선녀’라 여긴다. 올해는 아내의 선종 10주기. 시 ‘사별(死別)’에서 ‘아내의 죽음은/잃어버린 나의 일기장이고/사라져 버린 나의 연애편지이며/이젠 되찾을 수 없는/나의 은밀한 고백록이 아니던가’라며 아파한다.

지난해 9월 떠날 예정이던 산티아고 순례길은 “아내와 마음으로 함께 걷겠다”며 고대했다. 하지만 출발을 두 달 앞두고 암 판정을 받았다. 죽음에 대한 공포가 밀려들고, 왜 이런 일이 생겼는지, 악몽 같은 현실에 잠을 이룰 수 없었다. 뜬 눈으로 지새다 명동성당을 찾아 눈물의 고해를 하며 모든 걸 신께 맡기기로 했다. 놀랍게도 평온이 찾아왔다.

항암 치료 후 수술을 받았지만 또 다시 절망적인 소식을 듣는다. 암이 전이됐다는 것. 가족들은 눈물을 쏟았지만 저자는 마음을 다잡는다. 태어날 때 위급 상황으로 죽을 뻔했기에 일흔 가까이 산 것만으로도 큰 복을 받았다며. 그는 “(신이) 일찍 부르시면 아내에게 가서 좋고, 좀 더 살게 하시면 자식들과 함께 있어 좋은 것 아닌가”라고 말한다.

아파 보니, 보고 싶은 사람들을 만나고 가고 싶은 곳에 갈 수 있으며 음식을 자유롭게 먹는 평범한 일상이 얼마나 소중한지 알게 됐다. 김치찌개를 실컷 먹을 수 있는 날을 소망하며 하루하루 치료에 집중하고 있다.

저자가 걸어온 길도 생생하게 담았다. 가세가 기울어 판잣집 단칸방에서 온 식구가 사는 현실에 충격 받은 까까머리 중학생은 “이기 우찌된 겁니꺼? 말도 안 돼예!”라며 마당에 주저 앉아 땅을 치며 통곡했다. 고등학교 3학년 때 ‘콩나물 버스’에 가방만 빨려 들어간 채 버스가 떠나버려 발을 동동 구르며 가방 찾기에 나서기도 했다.

술자리에서 웃음을 줄 수 있는 건배사를 고민하고, 나이 들어 취미 생활과 운동을 하며 자식 덕을 보지 않겠다며 “나는 독립 만세”를 외치지만 은연 중 자식들이 아빠를 챙겨왔음을 깨닫는다. 매일 기도로 하루를 시작한다.

중증 환자로 지내며 그가 가장 많이 느낀 건 감사함이다. 회복을 기원하는 가족과 친구·지인, 기도해 주시는 신부님, 애써주는 의료진, 치료비 부담을 줄여준 나라까지. 무엇보다 몸과 마음의 고통을 신이 지워주셨다고 말한다.

절망적인 상황을 정면으로 응시하며 곡진하게 써내려간 고백이 울림을 준다.

#산티아고 순례길#아내의 죽음#신앙과 기도#암 진단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