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나노바나나’는 구글 작품… 손흥민 사진 넣자 피규어 뚝딱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8월 28일 03시 00분


코멘트

피차이 CEO “제미나이 앱에 통합”
편집 일관성 갖춘 이미지 생성 AI
업계 “포토샵 필요없을만큼 정밀”
“딥페이크 범죄 우려 커져” 지적도

그동안 베일에 싸여 있던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AI) 모델 ‘나노바나나(nano-banana)’ 개발사가 구글인 것으로 밝혀졌다. 간단한 텍스트를 주면 이미지를 만들고 편집해주는 ‘나노바나나’는 정식 출시 전부터 AI 모델 성능을 비교하는 LM아레나에서 입소문을 탔는데, 소문대로 구글의 작품이었다.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는 26일(현지 시간)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계정에 “구글 딥마인드가 만든 새로운 이미지 생성 및 편집 모델이 제미나이 앱에 공개된다”며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나노바나나’ 모델이 제미나이 앱에 통합됐다”고 밝혔다. 나노바나나의 공식 명칭은 ‘제미나이 2.5 플래시 이미지(Gemini 2.5 Flash Image)’다. 제미나이 앱의 모든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다.

● “포토샵 배울 필요 없다” 평가

이번 신규 모델은 제미나이 앱 내 ‘이미지’에서 자연어로 프롬프트(명령문)를 넣으면 손쉽게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 그동안 AI 이미지의 한계로 꼽혔던 손 모양 등 신체도 자연스럽게 만들 수 있다. 특히 정밀한 편집 기능을 갖춰 업계에선 “포토샵을 배울 필요가 없다”는 평가까지 나온다.

기존 AI 이미지 생성 모델의 가장 큰 한계는 편집을 할 때 ‘일관성’이 없다는 점이었다. 사진 속의 옷 색상만 바꾸려 했는데 얼굴 형태가 바뀌거나, 여러 번 편집하면 원본 얼굴이 남아 있지 않을 정도로 왜곡되는 등의 문제였다. 이에 구글은 편집 과정 전반에 걸쳐 일관성을 보존하는 기술을 도입해 사용자가 다양한 의상이나 헤어스타일, 배경으로 인물을 변화시켜도 기존 얼굴을 유지하도록 했다.

또 미국 메이저리그사커(MLS) LA FC의 손흥민 선수 등 인물 사진을 넣으면 똑같이 생긴 피규어를 만들어준다. 최근 각종 SNS에 나노바나나를 사용해 ‘3D 피규어’ 이미지로 만든 게시글이 대거 올라온 이유다. 올 초 챗GPT의 ‘지브리풍’ 이미지 생성 열풍을 연상케 한다.

여러 장의 사진을 업로드하고 합성해 완전히 새로운 장면을 만들 수도 있다. 내 사진과 반려견 사진을 각각 가져와 함께 농구 코트에 앉아 있는 사진을 만들거나, 빈 방 사진에 벽을 칠하고 책장, 커피 테이블 등을 추가하며 원하는 인테리어 예상 사진을 받아볼 수도 있다. 구글, 오픈AI, xAI 등 빅테크들은 치열한 이미지 생성 AI 모델 경쟁을 벌이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 포천비즈니스인사이트에 따르면 글로벌 AI 이미지 생성 시장은 2030년 약 9억1745만 달러(약 1조2809억 원) 규모로 연평균 17.4%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 딥페이크 범죄 우려도 커져

다만 AI 이미지 생성 기술 발전에 따라 가짜 이미지로 인한 딥페이크 범죄 등 사회적 혼란이 급증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아동·여성 성폭력 사건 1급 공인’ 검사 출신인 박현주 변호사는 “생성형 AI의 발전으로 기술 숙련도가 낮은 사람도 범죄를 쉽게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이 주어진 것”이라며 “원본과 가짜 이미지를 구별할 수 없게 되면서 청소년이나 노인 등이 표적이 될 위험이 크다”고 우려했다. 이처럼 위험성 우려가 커지자 빅테크들은 유명인 사진 생성 금지 등의 안전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실제 구글 제미나이 창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관련 이미지 생성을 요청하자 “가이드라인에 위배될 수 있다”는 문구가 나오고, 이미지는 생성되지 않았다.

구글은 이번 업데이트와 관련해 “제미나이로 생성하거나 편집한 모든 이미지에는 눈에 보이는 워터마크와 함께 보이지 않는 신스ID(SynthID) 디지털 워터마크가 삽입돼 AI 생성 이미지임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나노바나나#구글#제미나이#AI 피규어#구글 딥마인드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