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핵심 연구원 영입… 中도 AI 인재 쟁탈戰 본격 참전

  • 동아일보

코멘트

텐센트, 195억대 보상 주며 데려가
메타-구글-MS도 앞다퉈 ‘S급’ 확보
빅테크들, AI 인재 영입 경쟁 격화
비핵심 부서는 대규모 해고 내몰려

미국 빅테크 기업의 인공지능(AI) 인재 영입 전쟁이 가속화하는 가운데 중국 기업도 글로벌 AI 인재 영입 경쟁에 뛰어들었다. 중국 최대 정보기술(IT) 기업인 텐센트가 막대한 규모의 보상을 제시하며 업계 선두인 오픈AI의 핵심 인재를 영입한 것이다.

12일(현지 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텐센트는 최근 오픈AI의 유명 연구원인 야오를 영입하는 데 성공했다. 텐센트는 야오 영입에 최대 1억 위안(약 195억 원) 규모의 보상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야오는 텐센트 서비스에 AI를 통합하는 업무를 맡을 것으로 보인다.

야오는 최근 AI 업계에서 눈에 띄는 ‘S급 인재’로 분류됐다. 중국 칭화대를 졸업한 뒤 미국 프린스턴대에서 컴퓨터과학 박사학위를 받은 그는 지난해 6월부터 오픈AI에서 AI 에이전트 연구를 했다. 블룸버그는 야오의 텐센트행에 대해 “미국 AI 분야에서 중국으로 이적한 가장 눈에 띄는 사례”로 평가했다.

중국까지 AI 인재 영입 경쟁이 번진 것은 이 분야에서 S급 인재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S급 인재를 데리고 와야 AI 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행착오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올해 빅테크 가운데 S급 인재 확보에 가장 발빠르게 나선 곳은 메타다. 메타는 올 6월 스케일AI에 143억 달러(약 19조7000억 원)를 투자하며 알렉산드르 왕 스케일AI 최고경영자(CEO)를 영입했다. 이어 글로벌 소스코드 저장 플랫폼 ‘깃허브’의 냇 프리드먼 전 CEO도 메타에 합류했다. 메타는 오픈AI 연구원들에게 최고 1억 달러의 보상 패키지를 제시하며 이직을 제안하기도 했다.

구글도 올 7월 24억 달러를 들여 AI 코딩 스타트업 ‘윈드서프’의 CEO와 주요 엔지니어들을 영입했다. 윈드서프는 애초 오픈AI가 인수를 추진했지만 인수가 무산됐고, 그 틈을 타 구글이 윈드서프의 CEO 바룬 모한과 공동창업자 더글러스 천 등을 영입했다. 지난해에는 2021년 구글을 떠나 AI 챗봇 개발 스타트업 ‘캐릭터.AI’를 설립한 노엄 샤지어와 대니얼 드 프레이타스를 다시 영입하기도 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최근 몇 개월 동안 20여 명의 구글 직원을 영입했다. 이 가운데는 구글에서 제미나이 어시스턴트 개발 엔지니어링 부사장을 지낸 아마르 수브라마냐, 구글 딥마인드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겸 수석 이사(시니어 디렉터)로 재직했던 애덤 새도브스키 등이 있다.

한편 AI 업계에서는 인력 간 희비가 교차하고 있다. S급 인재의 몸값이 갈수록 치솟지만 단순한 업무를 하는 직원은 해고에 내몰리고 있는 것이다. 13일(현지 시간) 비즈니스 인사이더에 따르면 일론 머스크가 창업한 AI 스타트업 xAI는 최근 직원 500명을 해고했다. 해고 대상이 된 직원들은 xAI의 챗봇 ‘그록’ 개발을 지원하는 데이터 주석팀으로, 데이터를 맥락화하고 분류해 그록이 세상을 이해하도록 가르치는 역할을 해 왔다.

#AI 인재#빅테크#오픈AI#메타#구글#마이크로소프트#텐센트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