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활동인구 1만명 미만 시군구, 2042년엔 15곳”

  • 동아일보

코멘트

한은, 2032년 1곳서 급증 예상
“장년층 인력 유입 방안도 고려를”

청년층의 대도시 이주가 계속된다면 현재는 전국에 1곳도 없는 ‘경제활동인구 1만 명 미만 시군구’가 약 20년 뒤에는 15곳에 이를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경제활동인구는 15세 이상 중 일을 하고 있거나 구직하고 있는 인구를 뜻한다. 결국 경제활동인구가 줄어 지역 경제의 활력을 잃는 곳이 앞으로 급증할 것이란 의미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인구변화가 지역별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경제활동인구가 1만 명 미만인 시군구는 2032년에는 1곳(전체 229곳 중 0.4%), 2042년에는 15곳(6.6%)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2022년에는 경제활동인구가 1만 명 미만인 시군구가 없었다.

보고서는 2042년까지 시군구 105곳은 경제활동인구 감소율이 30% 이상, 31곳은 감소율이 50% 이상일 것이라 봤다. 반면 증가가 예상되는 곳은 31곳에 불과했다.

노동인구 감소 현상은 지방을 중심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2042년까지 생산연령인구가 35% 이상 감소할 지역은 강원, 경북, 경남, 전북, 전남에 소속된 대다수 시군구로 관측됐다.

노동인구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해선 장년층이 중소 도시로 이주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청년층의 대도시 이동을 막을 수 없다면 장년층을 공략하자는 것이다.

보고서는 “향후 장년 및 고령 인력에 진입하는 세대는 과거보다 학력이 높아 더 나은 생산성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인구 감소 도시도) 장년층 고용에 긍정적”이라며 “장년 인구를 대상으로 경제적 유인책 제공, 복지와 의료 서비스 강화 등을 통해 중소 도시로의 이동을 장려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고 제안했다.

#청년층#대도시 이주#경제활동인구#노동시장#생산연령인구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