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폭우에 물가 출렁…충격 2년 지속, 최대 0.5%p 상승

  • 뉴스1

코멘트

한은 “극한기상, 단기충격 아닌 구조적 인플레 요인”
농수산물·서비스 물가 직격탄…기후 대응 투자 시급

지난달 31일 서울 시내 한 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자료사진) /뉴스1
지난달 31일 서울 시내 한 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자료사진) /뉴스1
(한은 제공)
(한은 제공)
폭염과 폭우 등 극한기상 현상이 물가를 2년 이상 장기간 끌어올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8일 발간한 BOK이슈노트 보고서에서 “극한기상 현상 심화가 직접적인 수요·공급충격뿐 아니라 기대심리와 가격설정 메커니즘 변화 등을 통해 물가에 구조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분석에 따르면 기온이 1도 높아지는 고온 충격은 발생 직후부터 24개월 이상 소비자물가를 끌어올렸으며, 평균 상승 폭은 0.055%포인트(p)에 달했다.

강수량이 10㎜ 늘어나는 강수 충격도 15개월간 0.033%p 수준의 물가 상승 압력을 유지했다. 일시적 충격이 아닌 ‘장기 충격’이라는 의미다.

특히 충격 강도가 커질 경우 물가 영향은 급격히 확대됐다. 예를 들어 단위 고온충격에 일최고기온 상승 폭을 곱해 시산한 총 물가 상승 압력은 일반고온 구간에서는 0.03%p인 데 반해, 평년보다 기온이 4.9도 이상 오른 극한폭염 구간에서는 0.56%p까지 치솟았다.

폭우의 경우도 일반강수 구간에서는 물가 충격이 0.024%p 수준이었으나, 일강수량이 82.4㎜ 늘어나는 극한 시나리오에서는 최대 0.45%p 오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농축수산물과 서비스 가격이 직격탄을 맞았다. 농산물과 축산물은 폭염과 폭우가 발생한 직후 단기간 가격이 급등했다가 완화되는 패턴을 보였고, 수산물은 폭염보다는 폭우에 더 민감하게 반응했다. 서비스물가의 경우 폭염 때는 인건비와 냉방비 부담 등으로 오르지만, 폭우 때는 수요가 줄어들며 오히려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한은은 기상청의 장기 전망을 반영해 미래 물가 효과도 추정했다. 온실가스 감축 노력이 지연될 경우 폭염에 따른 물가 상승 압력은 2050년부터 급증했다.

저자들은 “물가 상승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농축수산업 등 기후 취약 부문의 생산성과 공급 안정성을 확보하고, 재난 대응 인프라 등 기후 적응 투자를 확대하는 한편, 보험·금융 관련 안전장치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며 “극한기상 일상화에 대비해 중장기 시계에서 실물금융경제, 통화정책 운영 여건 등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정책 마련을 위한 연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