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매판매 2.2% 줄어 3년째 뒷걸음
반도체 등 생산-투자 호조 보였지만
미국發 관세 폭풍에 올해는 비상등
지난해 소비가 21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면서 3년 연속으로 뒷걸음질쳤다. 고금리·고물가 장기화에 비상계엄 및 탄핵 정국 등 악재가 겹치면서 내수가 좀처럼 활력을 되찾지 못하고 있다. 반도체 수출 증가 등으로 산업 생산과 설비 투자 지표는 그나마 호조를 보였지만 미국발(發) ‘관세 폭풍’이 현실화되면서 올해 생산과 투자 모두 비상등이 켜졌다.
● 소비 3년째 감소, 역대 최장
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 동향을 나타내는 소매판매는 1년 전보다 2.2% 감소했다. 신용카드 대란 사태가 있던 2003년(―3.2%)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이다. 고금리·고물가가 길어지면서 소매판매는 2022년부터 3년 연속 감소하고 있다. 역대 가장 긴 하락세다.
지난해 소비 부진은 승용차 등 내구재(―3.1%),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1.4%), 의복 등 준내구재(―3.7%)에서 판매가 모두 줄어든 영향이 컸다. 특히 비상계엄 및 탄핵 정국의 여파로 연말 소비 심리마저 위축되면서 내수 부진은 좀처럼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지난해 12월 소매판매는 전달보다 0.6% 감소했다. 지난해 9월(―0.3%)과 10월(―0.7%) 감소하던 지표가 11월(0.0%) 코리아세일페스타 등의 효과에 보합세로 돌아섰으나 한 달 만에 다시 하락한 셈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비상계엄 및 탄핵 정국과 같은) 정치 상황의 영향이 있지 않나 싶다”고 설명했다.
● 그나마 버텼던 생산·투자, 올해 전망은 ‘우울’
부진했던 소비와 달리 지난해 전체 산업생산과 투자는 전년보다 각각 1.7%, 4.1% 증가했다. 전(全)산업생산은 광공업(4.1%)과 서비스업(1.4%) 생산이 늘면서 4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설비투자는 반도체제조용기계 등 기계류(2.9%) 및 기타 운송장비 등 운송장비(7.8%)에서 투자가 모두 증가했다.
하지만 내수 침체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건설업 부진은 계속됐다. 지난해 건설기성은 4.9% 줄어 2021년(―6.7%)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건설기성은 건설업체의 국내 공사 현장별 시공 실적을 집계한 통계다.
소비 부진이 길어지는 상황에서 올해는 산업 활동까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미국발 관세 전쟁으로 수출 기업의 타격이 불가피한 탓이다. 실제 지난해 12월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지표인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보다 0.2포인트 하락했고, 올해 1월 수출액도 491억2000만 달러로 전년보다 10.3%포인트 감소하며 15개월 연속 상승세가 끝났다.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도널드 트럼프 정부는 미국에 물건을 팔고 싶으면 미국에서 생산하라는 기조”라며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가 반도체 생산의 상당 부분을 미국으로 옮기게 되면 국내 생산지수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세종=정순구 기자 soon9@donga.com
세종=김수연 기자 syeon@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