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경제
LCC, 빅3 시대 열리나…‘통합·인수합병’ 재편 본격화
뉴시스(신문)
입력
2025-02-23 10:11
2025년 2월 23일 10시 11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코멘트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대명소노그룹, 티웨이항공에 에어프레미아까지?
진에어·에어부산·에어서울, 통합 LCC 출범 기대감
LCC 1위였던 제주항공, 당분간 내실 다지기…향후 행보 관심
ⓒ뉴시스
대명소노그룹의 티웨이항공 경영 참여 선언과 진에어·에어부산·에어서울의 통합 저비용항공사(LCC) 출범 등 LCC 업계 재편이 가시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지난해 12월 여객기 사고가 있었던 업계 1위 제주항공의 행보도 관심을 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항공업 진출을 선언한 대명소노그룹이 티웨이항공 지분 매각 협상에서 우위를 점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추가로 에어프레미아 경영권 확보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다.
앞서 대명소노그룹은 티웨이항공에 기존 경영진의 퇴진과 유상증자를 통한 자금조달 계획 등 경영 개선을 요구하는 내용증명을 발송했다. 경영권 확보 계획을 알리는 첫 공식 행보다.
최대 주주인 티웨이홀딩스, 예림당 측 지분(29.74%)과 대명소노그룹 측의 소노인터내셔널, 대명소노시즌의 지분(26.77%) 차이가 약 3%에 불과해 경영권 분쟁 가능성이 거론됐으나 최근 지분 매각 방식을 두고 양측이 막바지 물밑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명소노그룹은 다음달 티웨이항공 정기 주주총회에서 이사회 구성원을 교체하며 경영권을 확보할 계획으로 전해진다. 여기에 역시 2대 주주로 있는 에어프레미아의 경영권도 확보해 티웨이항공과 합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티웨이항공(유럽), 에어프레미아(미국)과 중장거리 노선에 강점이 있어 대한항공과 합병 이전 ‘아시아나항공 포지션’을 기대하는 분위기다.
이런 가운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합병으로 양사의 자회사로 있던 LCC 항공사들 역시 통합을 위한 본격 행보에 돌입한 모습이다.
대한항공의 자회사 진에어, 아시아나항공의 자회사 에어부산, 에어서울이 정규 운항 항공편에 대해 직원들의 상호 우대 탑승 협약을 체결했다. 진에어 중심으로 각각 에어부산, 에어서울과 협약을 맺었다.
모회사 대한항공이 아닌 LCC들이 상호 중심으로 본격적인 협력 관계에 나선 게 눈에 띈다. 통합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이나 과정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이번 협약은 향후 통합 LCC 출범을 염두에 둔 행보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또 한진그룹은 통합 이후 지난달 첫 정기 임원인사를 통해 LCC 수직 서열화의 틀을 잡았다.
대한항공의 우기홍 대표이사 사장이 대표이사 부회장으로 승진했고, 아시아나항공 신임 대표이사에 대한항공 여객사업본부장(전무) 출신 송보영 부사장이 승진 선임됐다.
LCC 통합의 중심이 될 진에어는 기존 박병률 전무가 대표이사를 맡고, 에어부산(정병섭 상무)과 에어서울(김중호 수석부장) 대표이사를 수직 서열로 배치했다.
3사가 통합되면 보유 항공기 수는 진에어 31대, 에어부산 21대, 에어서울 6대로 총 58대가 된다. 종전 1위였던 제주항공(41대)을 따돌리며 최대 규모를 갖춘다.
지난해 12월 여객기 사고가 났던 제주항공은 최근 감편 운항을 하며 내실 다지기에 집중하고 있다.
지난해 김이배 대표이사가 업계 재편이 이뤄지면 적극적인 인수합병에 나설 가능성을 언급해 향후 행보에 관심이 쏠린다. 일부에서 이스타항공 지분 인수 가능성이 나오는 이유다. 그러나 당분간 눈에 띄는 행보를 걷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들린다.
[서울=뉴시스]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트럼프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전쟁 영웅…나도 그렇다”
움직이면서도 5km 표적 명중… “폴란드, K2전차 면밀함에 반해”
정책실장 “부동산 정책에 세금 절대 안쓴다는건 오산”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0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